Listindex 의 사용방법은 '개체명.listindex+시작번호' 인걸로 알고있는데 이 개체명이 뭔지 조금 헷갈리네요.
229p 3번문제를 보면 listindex를 사용하라는데 개체명을 index가 값을 가져오는 범위인 cmb종류로 했는데 이게 맞는건가요? 값이 있는 범위의 가장 좌측 열이 개체명이 되는것이..?
비슷한 list의 개체명 역시 가져올 값이 있는 범위의 이름을 넣어주면 되는건가요?
대충 촉으로 229p 4번 문제를 완성했는데 실행은 됩니다만 답과 다르네요. 이렇게 해도 정답인정되나요?
입력행 = [a3].Row + [a3].CurrentRegion.Rows.Count
Cells(입력행, 1) = txtID
Cells(입력행, 2) = txt이름
Cells(입력행, 3) = lst과목.List(lst과목.ListIndex + 0, 0)
Cells(입력행, 4) = lst과목.List(lst과목.ListIndex + 0, 1)
Cells(입력행, 5) = lst과목.List(lst과목.ListIndex + 0, 2)
Cells(입력행, 6) = lst과목.List(lst과목.ListIndex + 0, 3) - (lst과목.List(lst과목.ListIndex + 0, 3) * 0.1)
분명 정상실행은 되는데 한번 디버그가 떴었어요.. 3번에 노란줄이 쳐져서.. 이상은 없는듯한데;;
다만 입력버튼을 누르면 값에 메모처럼 초록색 화살표가 추가되네요..
엑세스 질문 추가했습니다..
51p 6번 문제를 보면
'고객만족도' 필드에는 a,b,c,d,e의 값만 입력될 수 있도록 설정하시오. 있는데
답은 in ("A","B","C","D","E") 입니다. 이걸 A or B or C or D or E 이렇게 쓰면 틀린건가요?
1. 일단 문제에서 확인 하시면 됩니다.
폼에서 선택된 보험종류에 해당하는~ 이라고 했고 문제 제일 처음에 보험종류(cmb종류) 라고 되어 있으니 이것을 이용하시면 되구요.
이것으로 확인이 안되신다면 폼에서 확인 하시면 됩니다.
프로시저창의 폼에서 컨트롤을 클릭 하시면 속성창에 선택된 컨트롤의 이름이 나옵니다.
2. 문제에서 list,listindex 를 이용하라고 했습니다. 이것은 3번 문제와 다른 방식으로 작성해야 합니다.
listindex와 list,listindex의 차이점을 설명 드릴께요. 이렇게 이해하시는 것이 빠르실거예요.
첫번째 코드는 목록상자나 콤보상자에서 특정 행을 추출할 때 사용하고, 두번째 코드는 워크시트의 셀안의 내용을 가져올때 사용 하게 됩니다.
참조행 = lst과목.ListIndex
입력행 = [a2].Row + [a2].CurrentRegion.Rows.Count
Cells(입력행, 1) = txtID
Cells(입력행, 2) = txt이름
Cells(입력행, 3) = lst과목.List(참조행, 0)
Cells(입력행, 4) = lst과목.List(참조행, 1)
Cells(입력행, 5) = lst과목.List(참조행, 2)
Cells(입력행, 6) = lst과목.List(참조행, 3) - (lst과목.List(참조행, 3) * txt할인율)
여기에서 참조행에 lst과목.listindex 라고 정의해 두고
lst과목.list(참조행,0) 으로 사용 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참조행이 어디인지 지정해 놓고 lst과목에서 참조행의 위치와 0인.. 그러니깐 참조행이 만약 2이고 찾고자하는 것이 0행에 있다는 그런 뜻이 됩니다.
참조행 = lst열차종류.listindex + 4
입력행 = [a3].row + [a3].currentregion.rows.count
cells(입력행, 1) = txt번호
cells(입력행, 2) = cells(참조행, 8)
cells(입력행, 3) = cells(참조행, 9)
cells(입력행, 4) = txt매수
cells(입력행, 5) = txt매수 * cells(참조행, 10)
이 문장에서는 lst열차종류에서 참조되는 행의 위치를 이미 지정하였습니다. 그리고 사용 할때는 8,9와 같이 엑셀에서 위치하는 열을 미리 적어 둔 것입니다.
한마디로 말하면.. 첫번째 코드는 폼안의 list박스내의 자료를 찾아서 셀에 입력 하는 것이구요.
두번째 코드는 워크시트에서 참조표가 있는 곳의 위치를 지정하여 입력할 데이터를 확인 하는 것입니다.
3. 제대로 실행된다면 상관 없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
*2011-07-07 10:02:01
1. 일단 문제에서 확인 하시면 됩니다.
폼에서 선택된 보험종류에 해당하는~ 이라고 했고 문제 제일 처음에 보험종류(cmb종류) 라고 되어 있으니 이것을 이용하시면 되구요.
이것으로 확인이 안되신다면 폼에서 확인 하시면 됩니다.
프로시저창의 폼에서 컨트롤을 클릭 하시면 속성창에 선택된 컨트롤의 이름이 나옵니다.
2. 문제에서 list,listindex 를 이용하라고 했습니다. 이것은 3번 문제와 다른 방식으로 작성해야 합니다.
listindex와 list,listindex의 차이점을 설명 드릴께요. 이렇게 이해하시는 것이 빠르실거예요.
첫번째 코드는 목록상자나 콤보상자에서 특정 행을 추출할 때 사용하고, 두번째 코드는 워크시트의 셀안의 내용을 가져올때 사용 하게 됩니다.
참조행 = lst과목.ListIndex
입력행 = [a2].Row + [a2].CurrentRegion.Rows.Count
Cells(입력행, 1) = txtID
Cells(입력행, 2) = txt이름
Cells(입력행, 3) = lst과목.List(참조행, 0)
Cells(입력행, 4) = lst과목.List(참조행, 1)
Cells(입력행, 5) = lst과목.List(참조행, 2)
Cells(입력행, 6) = lst과목.List(참조행, 3) - (lst과목.List(참조행, 3) * txt할인율)
여기에서 참조행에 lst과목.listindex 라고 정의해 두고
lst과목.list(참조행,0) 으로 사용 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참조행이 어디인지 지정해 놓고 lst과목에서 참조행의 위치와 0인.. 그러니깐 참조행이 만약 2이고 찾고자하는 것이 0행에 있다는 그런 뜻이 됩니다.참조행 = lst열차종류.listindex + 4
입력행 = [a3].row + [a3].currentregion.rows.countcells(입력행, 1) = txt번호
cells(입력행, 2) = cells(참조행, 8)
cells(입력행, 3) = cells(참조행, 9)
cells(입력행, 4) = txt매수
cells(입력행, 5) = txt매수 * cells(참조행, 10)이 문장에서는 lst열차종류에서 참조되는 행의 위치를 이미 지정하였습니다. 그리고 사용 할때는 8,9와 같이 엑셀에서 위치하는 열을 미리 적어 둔 것입니다.
한마디로 말하면.. 첫번째 코드는 폼안의 list박스내의 자료를 찾아서 셀에 입력 하는 것이구요.
두번째 코드는 워크시트에서 참조표가 있는 곳의 위치를 지정하여 입력할 데이터를 확인 하는 것입니다.
3. 제대로 실행된다면 상관 없습니다.좋은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