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2번의 2번을 보면
sum, if를 이용한 배열수식을 보고,,, 도저히 왜 그런건지 몰라서 올려봅니다.
{=sum( if( $c$3:$c$23<=h8, 1, 0 ) ) }
이렇게 답이 나왔는데
원래 공식은 {=(sum (if ( (조건1)*(조건2),합계를_구할_범위 ) ) }
이것인데
1, 0 ) ) 이 왜 붙은 건지 모르겠습니다.
도와주세효~
if문을 생각해 보세요.
if 문은 if(조건, 참, 거짓) 입니다.
즉 조건이 참이면 1을 거짓이면 0을 반영하는 것이죠.
sum(if(조건,1,0))
이라는 것은 조건이 참이면 1, 거짓이면 0을 반영하여
sum(1,1,0,0,0,1,0,1,..)
과 같은 값을 반영하고 이것을 더해 4라는 값을 반영하게 됩니다.
즉 조건에 맞는 것의 개수를 셀때 사용하는 것이라고 보시면 되죠.
0은 생략 하셔도 상관은 없습니다. 0을 생략 하시면
sum(1,1,,,,1,,1,...)
과 같이 나타나게 되어 4개 라고 나오게 되죠.
합계를 구할범위를 사용하는 것은 조건에 맞는 값의 합계를 구할때 사용하는 것이고,
이 식은 개수를 구할때 사용하는 것이다 라고 생각 하시면 됩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2011-07-07 09:40:37
if문을 생각해 보세요.
if 문은 if(조건, 참, 거짓) 입니다.
즉 조건이 참이면 1을 거짓이면 0을 반영하는 것이죠.
sum(if(조건,1,0))
이라는 것은 조건이 참이면 1, 거짓이면 0을 반영하여
sum(1,1,0,0,0,1,0,1,..)
과 같은 값을 반영하고 이것을 더해 4라는 값을 반영하게 됩니다.
즉 조건에 맞는 것의 개수를 셀때 사용하는 것이라고 보시면 되죠.
0은 생략 하셔도 상관은 없습니다. 0을 생략 하시면
sum(1,1,,,,1,,1,...)
과 같이 나타나게 되어 4개 라고 나오게 되죠.
합계를 구할범위를 사용하는 것은 조건에 맞는 값의 합계를 구할때 사용하는 것이고,
이 식은 개수를 구할때 사용하는 것이다 라고 생각 하시면 됩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