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가 이전에 아래와 같은 질문을 올렸었는데요... 답변이 부족해 다시 추가로 올리겠습니다.
---------------------------< 이전 질문 >------------------------------------------
필드속성에서 필수와 빈 문자열 허용 속성이 서로 중복되는 부분인거 같습니다.
필수는 그 필드에 값을 지정하는지 지정하지 않는지를 체크하는 것이고,
빈 문자열 허용 속성은 그 필드에 빈 문자열(NULL문자)이 허용되는지를 체크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값을 지정하지 않으면(필수속성에서 체크하는것) 당연히 null값이 입력될 것이고 이것은 결국 빈문자열 허용에서 체크하는 것인데 이렇게 되면 두 필드속성이 결국 같은 것이 아닌가요???
--------------------------<관련 추가 질문>---------------------------------------
빈문자열이 큰 쌍따옴표로 공백없이 입력하는 것이라 하셨는데, 아예 데이터를 입력하지 않아도 마찬가지로 NULL값이 입력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즉, 큰 쌍따옴표를 직접 기술하여 NULL값을 입력하는 것이나, 아무값도 입력하지 않고 tab키를 눌러 빠져나가 레코드를 입력하는 것이나 결국 그 레코드의 해당속성에는 NULL값이 저장되는 것은 똑같지 않나요???
그럼 필수와 빈문자열허용의 차이는 결국 같은 값을 입력받는데 있어서 명시적으로 null값을 집어넣는냐 아니냐의 차이 밖에는 없는 듯 보이는 데요. 저의 이런 추측이 맞나요???
안녕하세요. 길벗 수험서 운영팀입니다.
Null 값과 Null 문자를 다르게 보면 됩니다. 필수는 Null 값을 입력할 수 없게 한다면 빈 문자열 허용은 Null 문자 즉, 쌍따옴표에 공백이 없는 ""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빈 문자열 허용은 말 그대로 문자이므로, 텍스트, 메모, 하이퍼링크 이런 텍스트 관련 데이터 형식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것입니다. 이해가 되셨는지 모르겠네요....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1-07-06 09:50:15
안녕하세요. 길벗 수험서 운영팀입니다.
Null 값과 Null 문자를 다르게 보면 됩니다. 필수는 Null 값을 입력할 수 없게 한다면 빈 문자열 허용은 Null 문자 즉, 쌍따옴표에 공백이 없는 ""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빈 문자열 허용은 말 그대로 문자이므로, 텍스트, 메모, 하이퍼링크 이런 텍스트 관련 데이터 형식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것입니다. 이해가 되셨는지 모르겠네요....
즐거운 하루 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