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여부별로 예끔액이 가장 작은 사원의 이름을 계산하여 표시하시오.
결혼여부별로잖아여.~
{=index($A$9:$I$18, match( min ( if( $F$9:$F$18=A22, $E$9:$E$18)), ($F$9:$F$18=A22)*($E$9:$E$18),0),2)}
min(if옆에 $F$9:$F$18=A22 이거는 기혼으로 잡은거고
최소값_구할_범위 옆에 또 있잖아여
($F$9:$F$18=A22)* 이게 이해가 안가는게 왜 또 기혼으로 잡은건가여? A22가 아닌 A23아닐런지여?
결혼여부별로라면 기혼이랑 미혼으로 기준을 잡아줘야 하는데 왜 기혼만 두번을 하는지 모르겠네여
오자에두 없구여.
원래 이렇게 하는건지여....??
min 에서 사용한 범위와 match 에서 사용하는 범위를 같게 하기 위해서
같은 조건이 쓰인 것입니다.
min에서 기혼자 중에 최소값을 찾았는데 match 에서 전체 범위중에서 값을 찾게 되면 간혹 틀린 답이 나올 수 있기 때문에
min에서 사용한 조건 범위와 같게 만들기 위해서 같은 범위를 쓴것이죠.
좋은 하루 되세요.
"-
*2011-06-30 11:51:25
min 에서 사용한 범위와 match 에서 사용하는 범위를 같게 하기 위해서
같은 조건이 쓰인 것입니다.
min에서 기혼자 중에 최소값을 찾았는데 match 에서 전체 범위중에서 값을 찾게 되면 간혹 틀린 답이 나올 수 있기 때문에
min에서 사용한 조건 범위와 같게 만들기 위해서 같은 범위를 쓴것이죠.
좋은 하루 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