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6페이지에 문제3-2랑요 문제4-1에서 3-2는 me.recordsource "select 뒤에 ~어쩌구 하고 where에서 조건을 쓸때 cmb운송방법이 왜 운송코드와 같은거죠?? 그리고 중량은 왜 중량코드와 같은건지 궁금해요.
그리고 문제3-2에서는 where 운송코드= '" & cmb운송방법 * "'" ~ 인데
문제4-1에서는 where 운송코드=cmb운송방법으로 왜 문제4-1에서는 &,',"가 들어가지 않는거죠??
&,',"이 들어갈때 안들어갈때를 간단하게 설명좀 해주세요^^ㅠㅠ
감사합니당..ㅎㅋ
제일먼저 확인 해야 할 것이 문제입니다.
문제에서 cmb운송방법에 있는 운송방법에 대해서만~
이런식으로 문제가 나오므로 문제를 잘 보셔야 하구요.
문제만으로 힘들다면 cmb운송방법에 바운드된 값이 어떤 것인지 확인 하셔야 합니다.
2번 질문으로 설명 드리자면
cmb운송방법과 cmb중량에 저장된 값을 확인 하셔야 합니다.
cmb운송방법 컨트롤의 행원본을 확인 하시면
운송방법과 운송코드가 있는데요. 바운드 열이 2이므로 운송코드가 이 컨트롤에 저장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운송코드로 비교하셔야 하구요.
마찮가지로 cmb중량도 확인 해 보시면 중량코드가 컨트롤에 저장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중량코드로 비교 하셔야 합니다.
docmd.runsql 문이잖아요. runsql 문에서는 컨트롤 분리를 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컨트롤 분리를 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가 두가지 정도 되는데 하나는 runsql 문일때 이고 하나는 d가 들어가는 도메인 함수의 조건에서 입니다.
dlookup("지역명","테이블명","지역코드=txt지역코드")
와 같이 조건에 "지역코드=txt지역코드" 와 같이 & 연산자 없이도 사용이 가능 합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2011-06-26 21:54:09
제일먼저 확인 해야 할 것이 문제입니다.
문제에서 cmb운송방법에 있는 운송방법에 대해서만~
이런식으로 문제가 나오므로 문제를 잘 보셔야 하구요.
문제만으로 힘들다면 cmb운송방법에 바운드된 값이 어떤 것인지 확인 하셔야 합니다.
2번 질문으로 설명 드리자면
cmb운송방법과 cmb중량에 저장된 값을 확인 하셔야 합니다.
cmb운송방법 컨트롤의 행원본을 확인 하시면
운송방법과 운송코드가 있는데요. 바운드 열이 2이므로 운송코드가 이 컨트롤에 저장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운송코드로 비교하셔야 하구요.
마찮가지로 cmb중량도 확인 해 보시면 중량코드가 컨트롤에 저장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중량코드로 비교 하셔야 합니다.
docmd.runsql 문이잖아요. runsql 문에서는 컨트롤 분리를 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컨트롤 분리를 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가 두가지 정도 되는데 하나는 runsql 문일때 이고 하나는 d가 들어가는 도메인 함수의 조건에서 입니다.
dlookup("지역명","테이블명","지역코드=txt지역코드")
와 같이 조건에 "지역코드=txt지역코드" 와 같이 & 연산자 없이도 사용이 가능 합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