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1
액세스에서 함수 입력할때 기본값 같은데요..
예를 들어 DATE함수를 쓸때 "=" 이거 써줘야 하는건가요 안써줘야 하는건가요?
=DATE() or DATE() 어떤게 맞는거에요?
질문2
기출문제 08년 4회 DB구축
문제 1번 ②문제에서
입력마스크 클릭하면 옆에 ... 뜨는거 클릭한후 <테이블 저장 : 예 > 클릭하고
<테스트 : 아니오 > 클릭하는거 맞아요? (테스트 안하고 넘어가도 되는거죠?)
질문3
기출문제 08년 4회 DB구축
문제 3번에서
문제 뜻이 외래키인 <학과코드별교수> 테이블의 '교수번호' 필드를
기본키인 <교수현황> 테이블의 '교수번호' 필드랑
데이터 형식 하고 필드 속성을 똑같게 설정 하란 말인가요? 그리고 여기서 말하는
필드 속성이란게 필드크기만 똑같이 바꿔주면 되나요? 아니면 속성 전체를 다 똑같이
바꿔 주라는건가요?
아 그리고 외래키가 원래 기본키랑 속성이 같아야 하는거에요?
질문4
기출문제 09년 2회 DB구축
문제 3번 에서
필드에는 제품 코드가 저장되도록 설정 하시오 <- 이게 무슨 말이에요? 뭘 바꿔 주라는거에요?
그리고 조회 속성에서 열개수 바꿔 주는게 있고 안바꿔 주는게 있는데 차이점이 뭐에요?
(목록값 지정 하라는 말이 없으면 무조건 열개수 맞춰서 바꿔 주는건가요?)
질문5
기출문제 09년 4회 DB구축
문제 1번 ④문제에서
형식에 쓸때 답은 mm"월" dd\일 이라고 나왔는데 답에서 mm"월"dd"일" 입력하면 자동으로
변경된다고 써있던데 제가 하면 mm\월dd\일 이렇게 나오거든요 .
큰따옴표나 띄어쓰기 하는거에 따라 달라지던데 정확히 어떻게 써야 되요?
질문6
기출문제 09년 4회 DB구축
문제 2번
조건에 NOT IN (select 제품코드 from 제품) 이라고 나와있던데
select 다음에 제품코드 필드 를 쓰는 이유가 뭐에요? 기본키로 잡혀있어서 그런거에요?
그리고 NOT IN은 ~에 없는 데이터 추가라는 말이 나오면 쓰는거에요?
NOT IN은 언제 쓰는지 알려주세요 ~
1. 둘다 맞습니다. 사용하시고 확인 하셔서 날짜가 정상적으로 나오는지 확인 해 보세요.
2. 네
3. 네 데이터 형식과 필드크기를 변경하시면 되구요. 기본키를 참조하기때문에 같은 데이터 형식을 사용해야 합니다.
4. 바운드 되게 하시면 됩니다. 제품코드의 열 번호를 바운드 열로 지정 하세요.
열이 4개 이니깐 4개로 바꿔 주는 것입니다. 4개로 지정 하지 않으면 나머지 열들이 보이지 않습니다.
5. 그렇게 바뀌어도 상관 없습니다.
6. 제품 테이블에 없는 데이터만 추가할 것 입니다.
<추가제품> 테이블의 데이터를 제품 테이블에 추가하라고 했습니다.
추가제품테이블과 제품테이블의 관계를 확인 할 수 있는 것은 제품코드 뿐이므로
not in을 제품코드 밑에 쓰고 제품 테이블에 있는 제품코드와 비교하는 것이예요.
Not In( )은 포함되지 않는 데이터를 의미합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2011-06-07 11:32:59
1. 둘다 맞습니다. 사용하시고 확인 하셔서 날짜가 정상적으로 나오는지 확인 해 보세요.
2. 네
3. 네 데이터 형식과 필드크기를 변경하시면 되구요. 기본키를 참조하기때문에 같은 데이터 형식을 사용해야 합니다.
4. 바운드 되게 하시면 됩니다. 제품코드의 열 번호를 바운드 열로 지정 하세요.
열이 4개 이니깐 4개로 바꿔 주는 것입니다. 4개로 지정 하지 않으면 나머지 열들이 보이지 않습니다.
5. 그렇게 바뀌어도 상관 없습니다.
6. 제품 테이블에 없는 데이터만 추가할 것 입니다.
<추가제품> 테이블의 데이터를 제품 테이블에 추가하라고 했습니다.
추가제품테이블과 제품테이블의 관계를 확인 할 수 있는 것은 제품코드 뿐이므로
not in을 제품코드 밑에 쓰고 제품 테이블에 있는 제품코드와 비교하는 것이예요.Not In( )은 포함되지 않는 데이터를 의미합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