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ount("상품코드","상품종합","브랜드코드 = cmb브랜드")
위의 조건에서 상품코드 : 찾아올 값이 들어 있는 필드 이름
이라고 설명되어있는데 이해가 안되요 무슨말인지 모르겠어요
dcount 함수는 레코드의 개수를 세는 함수이기 때문에
꼭 찾아올 값이 있는 필드 명이 아니어도 상관 없습니다.
dlookup 함수에서는 cmb브랜드에 해당하는 상품명을 찾아라 라고 한다면
dlookup("상품명","상품종합","브랜드코드=cmb브랜드코드")
와 같이 작성하여 찾아올 값이 있는 상품명 필드를 써야 합니다.
하지만 dcount 함수는 레코드의 개수를 세는 함수이기 때문에
상품종합의 어떤 필드명을 쓰셔도 같은 결과가 나옵니다.
그래서 상품코드가 아닌 다른 필드명을 쓰셔도 상관 없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2011-06-07 10:26:15
dcount 함수는 레코드의 개수를 세는 함수이기 때문에
꼭 찾아올 값이 있는 필드 명이 아니어도 상관 없습니다.
dlookup 함수에서는 cmb브랜드에 해당하는 상품명을 찾아라 라고 한다면
dlookup("상품명","상품종합","브랜드코드=cmb브랜드코드")
와 같이 작성하여 찾아올 값이 있는 상품명 필드를 써야 합니다.
하지만 dcount 함수는 레코드의 개수를 세는 함수이기 때문에
상품종합의 어떤 필드명을 쓰셔도 같은 결과가 나옵니다.
그래서 상품코드가 아닌 다른 필드명을 쓰셔도 상관 없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