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md 버튼을 클릭해서 이벤트 프로시저를 실행할때
docmd 개체를 사용할때도 있고 오른쪽 마우스 클릭해서 매크로작성기로 하는 경우도
있던데.. .언제 docmd를 사용하고 언제 매크로작성기를 이용해서 문제 푸는지 궁금합니다.ㅠㅠ
그리고..엑셀 배열함수에서 sum함수이용해서 건수를 나타날때
1을 넣는경우도 있고 아닌 경우도 있던데..차이점 좀 가르쳐주세요.ㅠㅠ
함수모음집 84쪽에 1번 문제 건수를 사용하는건데 왜 1을 안넣는건지..ㅠㅠ
1. 문제에서 매크로를 이용하시오. 이면 매크로로 작성하고
이벤트프로시저로 작성하시오. 혹은 docmd속성을 이용하시오. 이면 코드 작성기로 작성합니다.
이런 지시사항이 없으면 사용할 수 있는 방법으로 작성 하시면 됩니다.
2. =sum((C3:C23=E30)*1)
조건 즉 c3:c23=E30 이면~ true 아니면 false 가 나오게 됩니다.
true는 1로 false 는 0 으로 표시 할 수있습니다.
즉 조건이 맞으면 1을 반영 하여 1*1=1 이 되는 것이고
조건이 틀리면 0을 반영하여 0*1=0 이 됩니다.
즉 조건의 맞는 개수를 세개 되는 것이죠.
조건이 맞으면 1, 아니면 0
sum(1,1,0,1,0,1).... 을 하여 이것을 다 더하게 되면 값이 나오게 됩니다.
sum((조건1)*(조건2))
를 하게 되도 똑같죠. 조건이 맞으면 1 거짓이면 0 으로
1 * 1 = 1
1 * 0 = 0
0 * 1 = 0
0 * 0 = 0
그래서 마지막에 꼭 1을 곱할 필요가 없죠.
좋은 하루 되세요.
"-
*2011-06-07 10:14:49
1. 문제에서 매크로를 이용하시오. 이면 매크로로 작성하고
이벤트프로시저로 작성하시오. 혹은 docmd속성을 이용하시오. 이면 코드 작성기로 작성합니다.
이런 지시사항이 없으면 사용할 수 있는 방법으로 작성 하시면 됩니다.
2. =sum((C3:C23=E30)*1)
조건 즉 c3:c23=E30 이면~ true 아니면 false 가 나오게 됩니다.
true는 1로 false 는 0 으로 표시 할 수있습니다.
즉 조건이 맞으면 1을 반영 하여 1*1=1 이 되는 것이고
조건이 틀리면 0을 반영하여 0*1=0 이 됩니다.
즉 조건의 맞는 개수를 세개 되는 것이죠.
조건이 맞으면 1, 아니면 0
sum(1,1,0,1,0,1).... 을 하여 이것을 다 더하게 되면 값이 나오게 됩니다.
sum((조건1)*(조건2))
를 하게 되도 똑같죠. 조건이 맞으면 1 거짓이면 0 으로
1 * 1 = 1
1 * 0 = 0
0 * 1 = 0
0 * 0 = 0
그래서 마지막에 꼭 1을 곱할 필요가 없죠.
좋은 하루 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