옵션-1,0,1 쓸때여,선택해서 쓰는걸 이해 못하겠어여.
0은 알아여.-1은 설명에:가장작은값을 찾습니다. 1은 설명에:가장큰값을 찾습니다.라고 나와있어여.
어떤것을 보고 -1을 쓰고,1을 쓰는것인지 도통 이해가 안되서.겁나요.
책에서 나온 예제 기출문제를 예를 들어서 자세한 설명 부탁드려요.................
^-^ 제가 언어이해가 딸여요.
-1 : 찾을 값 보다 크거나 같은 값 중 가장 작은 값을 찾습니다. 범위는 반드시 내림차순으로 정렬되어 있어야 합니다.
0 : 찾을 값에서 첫번째로 정확하게 일치하는 값을 찾습니다. 범위는 정렬 되어 있지 않아도 됩니다.
1 : 찾을 값 보다 작거나 같은 값 중에서 큰 값을 찾습니다. 범위는 반드시 오름차순으로 정렬 되어 있어야 합니다.
내림차순이란 큰것에서 작은것 순서로 정렬된 것을 말합니다. (-1 옵션을 사용해야할때)
100 100 80 60 40 20
80
60
40
20
오름차순이란 작은것에서 큰것으로 정렬된 것을 말하죠. (1옵션을 사용 해야 할때)
20 20 40 60 80 100
40
60
80
100
이렇게 정렬되어 있을때 옵션들을 사용 하게 됩니다.
만약 59를 찾게 된다면 첫번째 내림차순으로 정렬 되었을때 (-1옵션) 찾을값보다 크거나 같은값중 작은 값을 찾는다고 하는데요. 그럼 크거나 같은 값이니 60을 찾아서 3을 반영하게 됩니다.
아래와 같이 내림차순으로 정렬 되었을때(1옵션) 찾을값보다 작거나 같은 값중 큰값을 찾습니다.
작거나 같은 값을 찾으면 40이기 때문에 2를 반영하게 됩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2011-06-01 11:29:32
-1 : 찾을 값 보다 크거나 같은 값 중 가장 작은 값을 찾습니다. 범위는 반드시 내림차순으로 정렬되어 있어야 합니다.
0 : 찾을 값에서 첫번째로 정확하게 일치하는 값을 찾습니다. 범위는 정렬 되어 있지 않아도 됩니다.
1 : 찾을 값 보다 작거나 같은 값 중에서 큰 값을 찾습니다. 범위는 반드시 오름차순으로 정렬 되어 있어야 합니다.
내림차순이란 큰것에서 작은것 순서로 정렬된 것을 말합니다. (-1 옵션을 사용해야할때)
"
100 100 80 60 40 20
80
60
40
20
오름차순이란 작은것에서 큰것으로 정렬된 것을 말하죠. (1옵션을 사용 해야 할때)
20 20 40 60 80 100
40
60
80
100
이렇게 정렬되어 있을때 옵션들을 사용 하게 됩니다.
만약 59를 찾게 된다면 첫번째 내림차순으로 정렬 되었을때 (-1옵션) 찾을값보다 크거나 같은값중 작은 값을 찾는다고 하는데요. 그럼 크거나 같은 값이니 60을 찾아서 3을 반영하게 됩니다.
아래와 같이 내림차순으로 정렬 되었을때(1옵션) 찾을값보다 작거나 같은 값중 큰값을 찾습니다.
작거나 같은 값을 찾으면 40이기 때문에 2를 반영하게 됩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