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dex, match, large 함수를 써서 배열함수로 계산 해주는 건데요.
=INDEX($A$9:$F$35, MATCH( LARGE(($C$9:$C$35=E3)*$D$9:$D$35,3), ($C$9:$C$35=E3)*$D$9:$D$35,0),2)
이해가 안가는게 밑줄친 굵은 부분에 ($C$9:$C$35=E3) 이걸 왜 곱해주는건지 이해가 안가요.
저는 안곱하는거라고 생각이 되어서 한번 안곱해서 해보니까 결과가 정답이랑 똑같이 나오던데요.
곱하는 거랑 안곱하는 거랑 답은 똑같이 나오는데 왜 곱하는건지 궁금합니다.
(곱해주는 의미가 궁금합니다.)
제 생각에 곱하면 안될거 같은데 해답에 나와있고 직접 곱해봐도 답이 제대로 나오던데요.
안곱해주면 틀리나요?
굵게 밑줄친 부분은 match 함수의 범위 입니다. 이 범위가 왜 이렇게 나오냐 하면
앞의 large 구할때 범위와 같게 한 것입니다.
이렇게 범위를 같게 하지 않으셨을 경우 간혹 다른 값이 나오게 됩니다.
범위가 있는데 전체 범위에서 어떤 특정한 위치를 찾는 것과
해당하는 범위 내에서 특정한 위치를 찾게 되면 다른 결과가 나올 수 있습니다.
그래서 large 의 범위와 같게 지정 해 주는 것입니다.
match 가 들어가는 배열 함수는 항상 그런식으로 쓰이기 때문에 잘 기억해 두셨다가 위와 같은 모양으로 작성 하시면 됩니다.
굵게 밑줄친 부분처럼 곱하지 않아도 정확한 결과가 나온다면 상관 없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2011-05-24 16:58:56
굵게 밑줄친 부분은 match 함수의 범위 입니다. 이 범위가 왜 이렇게 나오냐 하면
앞의 large 구할때 범위와 같게 한 것입니다.
이렇게 범위를 같게 하지 않으셨을 경우 간혹 다른 값이 나오게 됩니다.
범위가 있는데 전체 범위에서 어떤 특정한 위치를 찾는 것과
해당하는 범위 내에서 특정한 위치를 찾게 되면 다른 결과가 나올 수 있습니다.
그래서 large 의 범위와 같게 지정 해 주는 것입니다.
match 가 들어가는 배열 함수는 항상 그런식으로 쓰이기 때문에 잘 기억해 두셨다가 위와 같은 모양으로 작성 하시면 됩니다.
굵게 밑줄친 부분처럼 곱하지 않아도 정확한 결과가 나온다면 상관 없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