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선택쿼리에서요
개수를 구하는 필드를 구할때
참조테이블에서 개수 필드가 없을때
개수를 구할려면
아무 테이블이나 사용해서
개수:성명
하고 요약해서
묶는 방법을 개수로하면 다 구해지나요??
이렇게 했는데 자꾸 시험장에서 이상하게 나오더라고요 ㅜㅜ
2. 그리고 공부하다 또 궁금한게
형식과 입력마스크의 정확한 차이가 무엇입니까?
문제풀다보면 가끔 입력마스크에 입력해야겠다고 생각된게 형식에 입력한게 답이던데...
알려주세용~
1. 네, 레코드의 개수를 셀려고 한다면 필드를 끌어다 놓고 요약에서 개수를 해주시거나
count 함수를 이용하여 개수를 세어 주시면 됩니다.
이상하게 나왔다는게 어떻게 나온것인지 알수 없어서 더 자세한 설명이 어렵겠네요.
2. 입력마스크란 입력되는 값을 일정한 형식에 맞춰서 입력받아야 할 때 사용자가 그 형식을 미리 정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전화번호 필드에 000-0000 과 같이 지정한다면 앞의 3자리와 뒤의 4자리를 숫자로 반드시 입력하도록 하는 것이죠.
유효성 검사는 입력된 값에 대해 일정한 규칙을 적용하는 것으로
Left(전화번호, 1) = 3
으로 지정한 경우 입력된 전화번호 첫번째 자리가 반드시 3이어야 한다는 규칙입니다.
입력마스크란 입력 형식을 지정하는 것이고
유효성 검사란 입력된 값이 규칙에 맞는지 검사하는 것입니다.
형식은 데이터의 형식을 지정하는 것입니다.
통화, 날짜, 표준 등 모양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예, mm"월 "dd\일)
좋은 하루 되세요.
-
*2011-05-17 10:25:42
1. 네, 레코드의 개수를 셀려고 한다면 필드를 끌어다 놓고 요약에서 개수를 해주시거나
count 함수를 이용하여 개수를 세어 주시면 됩니다.
이상하게 나왔다는게 어떻게 나온것인지 알수 없어서 더 자세한 설명이 어렵겠네요.
2. 입력마스크란 입력되는 값을 일정한 형식에 맞춰서 입력받아야 할 때 사용자가 그 형식을 미리 정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전화번호 필드에 000-0000 과 같이 지정한다면 앞의 3자리와 뒤의 4자리를 숫자로 반드시 입력하도록 하는 것이죠.
유효성 검사는 입력된 값에 대해 일정한 규칙을 적용하는 것으로
Left(전화번호, 1) = 3
으로 지정한 경우 입력된 전화번호 첫번째 자리가 반드시 3이어야 한다는 규칙입니다.
입력마스크란 입력 형식을 지정하는 것이고
유효성 검사란 입력된 값이 규칙에 맞는지 검사하는 것입니다.
형식은 데이터의 형식을 지정하는 것입니다.
통화, 날짜, 표준 등 모양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예, mm"월 "dd\일)좋은 하루 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