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58 쪽에 기출문제에서
함수 IF(조건,인수1,인수2) 에서
IF(조건1,조건2,1)로 바뀌었는데... 이게 바로 배열수식인가요?
그러니까 배열수식이라 함은 여러 조건을 연결할 때 쓰이는 건가요?
그리고 조건과 조건을 연결할 때 * 표시로 연결을 해주는 건가요?
그리고 빨강색으로 표시한 1은 왜 나온건가요??
안녕하세요. 길벗 수험서 운영팀입니다.
배열수식이라는 것은 배열을 이용해서 값을 구하는 것을 배열 수식이라고 하는 것입니다.
배열 수식에서도 기본적으로 IF(조건,인수1,인수2)과 같은 형식으로 지정하는데, IF((조건1)*(조건2),1)은 조건이 거짓일때 넣는 인수2를 생략하고 조건을 두개 지정한 것입니다. 배열 수식에서는 and나 or 함수를 사용할 수 없으므로 and 조건을 때는 (조건1)*(조건2)과 같이 조건을 서로 곱해주고, or 조건일 때는 (조건1)+(조건2)과 같이 조건을 더해 줍니다.
이 문제의 경우 조건을 만족하는 셀의 개수를 구하는 문제로, 조건이 만족할 때 1을 넣을 후 count 함수를 이용하여 1의 개수를 세워 조건을 만족하는 셀의 개수를 구하는 것입니다. 만약 조건을 만족하는 특정 값의 합계를 구하는 문제라면 1이 아닌 합계를 구할 셀의 범위를 지정했겠죠.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1-04-26 10:13:32
안녕하세요. 길벗 수험서 운영팀입니다.
배열수식이라는 것은 배열을 이용해서 값을 구하는 것을 배열 수식이라고 하는 것입니다.
배열 수식에서도 기본적으로 IF(조건,인수1,인수2)과 같은 형식으로 지정하는데, IF((조건1)*(조건2),1)은 조건이 거짓일때 넣는 인수2를 생략하고 조건을 두개 지정한 것입니다. 배열 수식에서는 and나 or 함수를 사용할 수 없으므로 and 조건을 때는 (조건1)*(조건2)과 같이 조건을 서로 곱해주고, or 조건일 때는 (조건1)+(조건2)과 같이 조건을 더해 줍니다.
이 문제의 경우 조건을 만족하는 셀의 개수를 구하는 문제로, 조건이 만족할 때 1을 넣을 후 count 함수를 이용하여 1의 개수를 세워 조건을 만족하는 셀의 개수를 구하는 것입니다. 만약 조건을 만족하는 특정 값의 합계를 구하는 문제라면 1이 아닌 합계를 구할 셀의 범위를 지정했겠죠.
즐거운 하루 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