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매금액을 구하라는 문제인데..
=$H11*VLOOKUP($F11,$B$4:$G$6,MATCH($G11,$C$3:$G$3,0)+1,FALSE)*(1-IF($H11>=30,10%,0))
정답이 위에 인데.
MATCH 함수에서 왜 +1을 해주는지 이해가 안갑니다...
H11*VLOOKUP(F11,$B$4:$G$6,MATCH(G11,$C$3:$G$3,0)+1,FALSE)*(1-IF(H11>=30,10%,0))
vlookup에서 지정한 범위는 b열부터 시작인데
match 에서 지정한 범위는 c열 부터이기 때문에
vlookup의 범위를 맞춰 줄려면 +1 을 하여 사용하셔야 합니다.
match의 범위를 그대로 사용하여 1 이 나온 경우
vlookup의 b열에 해당하는 값을 가져오게 되므로 신상13 이 나올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1 을 하여 바지에 해당하는 25000 의 값을 가져오기위해 +1을 해주셔야 합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2016-12-05 15:33:51
H11*VLOOKUP(F11,$B$4:$G$6,MATCH(G11,$C$3:$G$3,0)+1,FALSE)*(1-IF(H11>=30,10%,0))
vlookup에서 지정한 범위는 b열부터 시작인데
match 에서 지정한 범위는 c열 부터이기 때문에
vlookup의 범위를 맞춰 줄려면 +1 을 하여 사용하셔야 합니다.
match의 범위를 그대로 사용하여 1 이 나온 경우
vlookup의 b열에 해당하는 값을 가져오게 되므로 신상13 이 나올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1 을 하여 바지에 해당하는 25000 의 값을 가져오기위해 +1을 해주셔야 합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