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록138p
=IFERROR(I3*VLOOKUP(I3,$A$34:$D$37,MATCH(G3,$B$33:$D$33,1)+1),VLOOKUP(I3,$A$34:$D$37,MATCH(G3,$B$33:$D$33,1)+1))
부록140p-1번
=VLOOKUP(F4,$B$32:$G$37,MATCH(LEFT(G4,2),$C$31:$G$31,0)+1)
?둘다 match와 vlookup을 쓰고 비슷한 문제인데 빨간부분이 다른이유는 무엇인가요?
다음에도 사용할때 어떻게 해야하는지 말씀해주세요 ㅜㅠ
match 의 옵션 부분입니다.
-1 : 찾을 값 보다 크거나 같은 값 중 가장 작은 값을 찾습니다. 범위는 반드시 내림차순으로 정렬되어 있어야 합니다.
0 : 찾을 값에서 첫번째로 정확하게 일치하는 값을 찾습니다. 범위는 정렬 되어 있지 않아도 됩니다.
1 : 찾을 값 보다 작거나 같은 값 중에서 큰 값을 찾습니다. 범위는 반드시 오름차순으로 정렬 되어 있어야 합니다.
생략할시 1로 지정되므로 오름차순 정렬된 상태라면 옵션을 생략하거나 1을 입력하셔도 정확한 결과가 나오는 것입니다.
138페이지에서는 범위가 오름차순으로 정렬되어 있으므로 1 로 사용한 것이고
140페이지에서는 범위가 정렬되지 않았기 때문에 정확히 일치하는 값을 찾는 0 을 사용한 것입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2016-11-30 12:02:24
match 의 옵션 부분입니다.
-1 : 찾을 값 보다 크거나 같은 값 중 가장 작은 값을 찾습니다. 범위는 반드시 내림차순으로 정렬되어 있어야 합니다.
0 : 찾을 값에서 첫번째로 정확하게 일치하는 값을 찾습니다. 범위는 정렬 되어 있지 않아도 됩니다.
1 : 찾을 값 보다 작거나 같은 값 중에서 큰 값을 찾습니다. 범위는 반드시 오름차순으로 정렬 되어 있어야 합니다.
생략할시 1로 지정되므로 오름차순 정렬된 상태라면 옵션을 생략하거나 1을 입력하셔도 정확한 결과가 나오는 것입니다.138페이지에서는 범위가 오름차순으로 정렬되어 있으므로 1 로 사용한 것이고
140페이지에서는 범위가 정렬되지 않았기 때문에 정확히 일치하는 값을 찾는 0 을 사용한 것입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