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53의 1번 [A3:G22] 영역에 대해서 '사번'이 J 또는 P로 시작하고 'TOEIC'이 900점 이상인 행 전체에 ~~ 여기서
조건을 수식으로 나타내는데
정답은
=AND(OR(LEFT($A3,1)="J",LEFT($A3,1)="P"),$F3>=900) 입니다.
그런데 저는
=AND(OR($A3="J*",$A3="P*"), $F3>=900) 으로 하였는데
적용이 되지 않아 어떤 부분이 잘못 되었는지 궁금합니다.
J* 라고 하면 J로 시작한다~ 라는 뜻 아닌가요?? 답변 부탁드립니다.
--
아울러서
바로 이어지는 기출 2번
DB 성적이 3의 배수이고 평균이 70 이상인 행 전체에 대해서 ~~~ 조건부 수식을 적용하시오
단(MOD 함수 사용) 이라고 되어 있는데
해답을 보니까 저렇게 제시될 경우는 MOD 이외에 AND나 다른 함수는 사용하면 안되더라구요 전 당연히 AND 사용하려고 했는데...
근데 해답을 보니까 =(MOD($E3,3)=0)*($K3>=70) 이렇게 수식이 *로 엮여 있던데
이건 뭔가요? 이게 AND 역할을 하는건가요? 그럼 위의 질문의 경우에서 굳이 AND를 쓴 이유는 무엇이고
*이 AND 역할을 한다는 설명은 어디에 나와있는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질문이 너무 많아서 죄송합니다 ㅠㅠ 따로 따로 올려야 하는거면 다시 올리겠습니다.
page 58에서 *가 모든 문자를 의미하는 만능 문자라서 김*로 입력하면 "김"자로 시작하는 데이터들을 추출한다고
했는데요. 이게 왜 *김 으로 입력하면 "김"자로 끝나는 데이터를 추출하는게 아니라
"김"자가 포함된 모든 데이터를 추출하는 지가 궁금합니다. 제 생각으로는 "김"자가 포함된 모든 데이터를
추출하려면 *김 이 아니라 *김* 이런식으로 해야될것 같거든요.
질문이 많은데 귀찮으시더라도 정성껏 답변해주시면 너무 도움이 많이 될 것 같습니다 ㅠㅠ 감사합니다!!
1. and 함수 안에서 "P*" 는 P 로 시작하는 값이 아니라 P* 라는 문자를 찾는 것이기 때문에 정확한 결과가 나오지 않는 것입니다.
2.
조건부 서식에 함수가 주어지지 않으면 어느 함수든 사용이 가능하지만
함수가 주어지면 주어진 함수만 사용하셔야 합니다.
mod 함수 사용 이기 때문에 주어지지 않은 and 함수는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조건을 * 로 이어 and 조건으로 만들어 주는 것입니다.
=(MOD($E3,3)=0)*($K3>=70)
=(조건1)*(조건2)
입니다.
조건이 참이면 1을 반영하고 조건이 거짓이면 0을 반영하죠
그럼
1 * 1 = 1
1 * 0 = 0
0 * 1 = 0
0 * 0 = 0
으로 두조건이 모두 참이어야 1을 반영하는 and 조건이 만들어 지는 것입니다.
조건이 참(1) 이면 서식을 적용하겠죠?
or 조건은 + 로 조건을 연결하시면 됩니다.
3. 일반적으로는 *김 으로 지정하면 김으로 끝나는 값이지만
고급필터의 조건과 d가 들어가는 데이터베이스 함수인 dsum, dcount 등의 조건에 사용할때는
이 값이 그대로 적용되지 않고 *김으로 지정했을때 김을 포함하는 값 까지 표시하게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정확하게 지정하기 위해 right 함수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2016-11-22 09:58:37
1. and 함수 안에서 "P*" 는 P 로 시작하는 값이 아니라 P* 라는 문자를 찾는 것이기 때문에 정확한 결과가 나오지 않는 것입니다.
2.
조건부 서식에 함수가 주어지지 않으면 어느 함수든 사용이 가능하지만
함수가 주어지면 주어진 함수만 사용하셔야 합니다.
mod 함수 사용 이기 때문에 주어지지 않은 and 함수는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조건을 * 로 이어 and 조건으로 만들어 주는 것입니다.
=(MOD($E3,3)=0)*($K3>=70)
=(조건1)*(조건2)
입니다.
조건이 참이면 1을 반영하고 조건이 거짓이면 0을 반영하죠
그럼
1 * 1 = 1
1 * 0 = 0
0 * 1 = 0
0 * 0 = 0
으로 두조건이 모두 참이어야 1을 반영하는 and 조건이 만들어 지는 것입니다.
조건이 참(1) 이면 서식을 적용하겠죠?
or 조건은 + 로 조건을 연결하시면 됩니다.
3. 일반적으로는 *김 으로 지정하면 김으로 끝나는 값이지만
고급필터의 조건과 d가 들어가는 데이터베이스 함수인 dsum, dcount 등의 조건에 사용할때는
이 값이 그대로 적용되지 않고 *김으로 지정했을때 김을 포함하는 값 까지 표시하게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정확하게 지정하기 위해 right 함수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