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내용 질문하기
부록 계산작업문제모음 138p 1번,2번
도서
2016 시나공 컴퓨터활용능력 1급 실기
페이지
138
조회수
57
작성일
2016-10-16
작성자
첨부파일

너무너무 어려워요 ㅜ 잘모르겠어요 도와주세요!!

답변
2016-10-17 15:40:39

1.

text 함수는 숫자를 표시형섹에 맞는 텍스트로 변환하는 함수입니다.

text(인수,형식) 으로 사용되며 형식 부분에는 숫자를 어떤 형식으로 표시할지 지정하셔야 합니다.

"YYMMDD-" 로 작성했으므로 생년월일인 1980-05-03을 800503- 으로 표시하게 됩니다.

& if ~~ 인 if 문에서는 e3의 값이 남 인경우 다시 if 문을 실행하여 year의 값이 2000 이상일때 3을 반환하고 아니면 1을 반환합니다.

e3의 값이 남 이 아닌경우는 여자이므로 마지막 if 값을 실행하여 year의 값이 2000 이상이면 4, 아니면 2 를 반환하게 되죠.

그럼

"800503-" & "2" & "******" 가 되므로

이것을 모두 붙여서 800503-2****** 로 표시가 되는 것입니다.

2.

부담금이 텍스트면 텍스트를 그대로 표시하고, 그렇지 않으면 약제비총액x부담금 으로 계산

이라는 지시사항이 있었기 때문에 iferror 으로 오류를 확인 해야 하는 것입니다.

IFERROR(I3*VLOOKUP(I3,$A$34:$D$37,MATCH(G3,$B$33:$D$33,0)+1), VLOOKUP(I3,$A$34:$D$37,MATCH(G3,$B$33:$D$33,0)+1))

식이나 식 자체의 값이 오류가 나면 오류값을 표시합니다.

I3*VLOOKUP(I3,$A$34:$D$37,MATCH(G3,$B$33:$D$33,0)+1) 은 식이 오류가 아니면 이 식을 그대로 계산하여 표시하고

이 값이 오류가 나면 VLOOKUP(I3,$A$34:$D$37,MATCH(G3,$B$33:$D$33,0)+1 의 값을 반환하는 것이죠.

IFERROR(I3*VLOOKUP(I3,$A$34:$D$37,MATCH(G3,$B$33:$D$33,0)+1), VLOOKUP(I3,$A$34:$D$37,MATCH(G3,$B$33:$D$33,0)+1))

VLOOKUP(I3,$A$34:$D$37,MATCH(G3,$B$33:$D$33,0)+1 에서 vlookup 의 범위 a34:d37 과 macth의 범위 b33:d33 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열이 틀려서 인 것이죠.

vlookup의 범위는 a열부터 4열 이고 match의 범위는 b열 부터 3열 이므로 match에서 나온 결과를 vlookup의 열로 찾게 되면 한줄씩 당겨져서 표시가 됩니다.

그러므로 vlookup의 결과와 같게 표시하기 위해서 +1 을 하는 것입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
    2016-10-17 15:40:39

    1.

    text 함수는 숫자를 표시형섹에 맞는 텍스트로 변환하는 함수입니다.

    text(인수,형식) 으로 사용되며 형식 부분에는 숫자를 어떤 형식으로 표시할지 지정하셔야 합니다.

    "YYMMDD-" 로 작성했으므로 생년월일인 1980-05-03을 800503- 으로 표시하게 됩니다.

    & if ~~ 인 if 문에서는 e3의 값이 남 인경우 다시 if 문을 실행하여 year의 값이 2000 이상일때 3을 반환하고 아니면 1을 반환합니다.

    e3의 값이 남 이 아닌경우는 여자이므로 마지막 if 값을 실행하여 year의 값이 2000 이상이면 4, 아니면 2 를 반환하게 되죠.

    그럼

    "800503-" & "2" & "******" 가 되므로

    이것을 모두 붙여서 800503-2****** 로 표시가 되는 것입니다.

    2.

    부담금이 텍스트면 텍스트를 그대로 표시하고, 그렇지 않으면 약제비총액x부담금 으로 계산

    이라는 지시사항이 있었기 때문에 iferror 으로 오류를 확인 해야 하는 것입니다.

    IFERROR(I3*VLOOKUP(I3,$A$34:$D$37,MATCH(G3,$B$33:$D$33,0)+1), VLOOKUP(I3,$A$34:$D$37,MATCH(G3,$B$33:$D$33,0)+1))

    식이나 식 자체의 값이 오류가 나면 오류값을 표시합니다.

    I3*VLOOKUP(I3,$A$34:$D$37,MATCH(G3,$B$33:$D$33,0)+1) 은 식이 오류가 아니면 이 식을 그대로 계산하여 표시하고

    이 값이 오류가 나면 VLOOKUP(I3,$A$34:$D$37,MATCH(G3,$B$33:$D$33,0)+1 의 값을 반환하는 것이죠.

    IFERROR(I3*VLOOKUP(I3,$A$34:$D$37,MATCH(G3,$B$33:$D$33,0)+1), VLOOKUP(I3,$A$34:$D$37,MATCH(G3,$B$33:$D$33,0)+1))

    VLOOKUP(I3,$A$34:$D$37,MATCH(G3,$B$33:$D$33,0)+1 에서 vlookup 의 범위 a34:d37 과 macth의 범위 b33:d33 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열이 틀려서 인 것이죠.

    vlookup의 범위는 a열부터 4열 이고 match의 범위는 b열 부터 3열 이므로 match에서 나온 결과를 vlookup의 열로 찾게 되면 한줄씩 당겨져서 표시가 됩니다.

    그러므로 vlookup의 결과와 같게 표시하기 위해서 +1 을 하는 것입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5MB 이하의 zip, 문서, 이미지 파일만 가능합니다.
· 폭언, 욕설, 비방 등은 관리자에 의해 경고없이 삭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