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내용 질문하기
매크로-->이벤트 프로시져로 변환 방법
도서
[2015] 컴퓨터활용능력 1급 실기
페이지
403
조회수
66
작성일
2016-10-13
작성자
첨부파일

1) 명령어를 잘 모를 때 아래와 같이 변환해서 사용하라고 했는데

변환 방법을 자세히 알려주세요.

매크로->이벤트 프로시져로 변환 방법

2) docmd 명령어는 어떨 때 사용하는지?

3) 필기처럼 실기도 요점 정리된 내용이 있는지? 너무 방대해서 정리된 내용이 있으면 도움이 될 것 같아서요.

4) 엑셀에서 피벗테이블 위치를 잘 못 지정했을 경우, 복사-붙여넣기로 위치 조정해도 점수에는 변화가 없나요?

5) isnull과 ""의 차이점은 뭔가요?

txt인원수를 입력하지 않았거나 ~

이 부분을 txt인원수=""로 처리했는데 isnull(txt인원수)로 하면 왜 틀리나요?

다른 분이 답변한 것 봤으나 이해가 안 되서 올리니 기존 답변 그대로 달지 마시고 쉽게 설명 부탁드려요.

6) Msgbox에서 어떨 땐 괄호를 표시하고 어떨 땐 괄호가 빠집니다.

엑셀,엑세스에서 동일한지요? 괄호는 어떨때 사용하나요? aa라는 변수에 값을 할당할 때에 괄호를 하는 것인지?

아래 예문에서 3가지 모두 가능한지 아닌지 알려주세요. 엑셀과 엑세스에서 차이점은 없는지?

Msgbox "종료합니다",vbokonly,""

Msgbox("종료합니다",vbokonly,"")

aa=Msgbox("종료합니다",vbokonly,"")

아래는time 함수가 쓰여서 괄호를 하는 것이 맞는지?

Msgbox "Time & "폼을 종료할까요?", vbYesNo + vbDefaultButton2, ""

Msgbox ("Time & "폼을 종료할까요?", vbYesNo + vbDefaultButton2, "")

aa= Msgbox("Time & "폼을 종료할까요?", vbYesNo + vbDefaultButton2, "")

답변
2016-10-14 10:41:10

1.

매크로를 visual basic 으로 변경하실려면

매크로를 포함된 매크로가 아니라 매크로 자체로 저장 하셔야 합니다.

아래 그림과 같이 매크로를 다른이름으로 저장하시고

매크로가 생성되면 이 매크로를 이용하여 변경해 보세요.

alt + f11 을 누르거나

이벤트 프로시저 등을 눌러서

vbe 로 들어가신 후 프로젝트 창에서 아래 그림중

모듈

- 변환된 매크로-macro~~~

라고 적힌 것을 더블클릭 하시면 오른쪽 그림에

docmd.close, ""

와 같은 변환된 매크로의 코드가 표시됩니다.

이코드를 드래그 하셔서 범위로 지정하고 복사한 후

원래 이벤트 프로시저가 작성되어야 하는 프로시저 창에 붙여 넣으시면 됩니다.

2.

dcomd 는 매크로를 실행하기 위한 것이라고 생각 하시면 되구요.

어떤 프로시저인지에 따라 다르게 사용됩니다.

docmd.close ,,acsaveno

docmd.close acform,폼명,저장여부

생략된 부분은 폼이나 보고서등 어느것을 닫을지와 어떤 개체를 닫을지를 지정하는 부분입니다.

acsaveno 는 저장을 하지 않는 다는 것입니다.

저장하지 않고 닫을때 사용하시면 됩니다.

docmd.openreport "업체별거래내역", acveiwpreview, "left([거래처코드],2) ='AA'"

와 같이 사용되는 보고서미리보기 프로시저도 있습니다.

각 프로시저 작성법에 맞는 내용들을 확인 해 보시기 바랍니다.

3. 책 중간중간에 함수부분등이 정리된 부분이 있긴 합니다. (p.100~106)

완벽히 정리된 것은 없습니다.

4. 정확한 결과가 나오면 상관 없습니다.

피벗테이블 이동 메뉴를 이용하여 이동하시는 것이 더 정확하시겠죠.

5. "" 은 공백 즉 띄어쓰기 같은게 있어야지 사용이 가능 합니다.

txt이름에 아무것도 입력 하지 않은 것이라면 isnull 을 사용하셔야 하지요.

아무것도 입력되지 않은것과 공백은 다른 것입니다.

6.

변수를 사용하면

aa = msgbox(" ~~

로 작성해야 하고

변수가 없으면

msgbox " ~~

로 작성하시면 됩니다.

변수를 지정하는 경우는 msgbox(" ~

로 msgbox뒤에 괄호를 사용해야 하고

변수가 없을때는 괄호 없이 작성하시면 됩니다.

변수가 있고 없고의 차이입니다.

결과가 정확히 나온다면 정답으로 인정 됩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
    2016-10-14 10:41:10

    1.

    매크로를 visual basic 으로 변경하실려면

    매크로를 포함된 매크로가 아니라 매크로 자체로 저장 하셔야 합니다.

    아래 그림과 같이 매크로를 다른이름으로 저장하시고

    매크로가 생성되면 이 매크로를 이용하여 변경해 보세요.

    alt + f11 을 누르거나

    이벤트 프로시저 등을 눌러서

    vbe 로 들어가신 후 프로젝트 창에서 아래 그림중

    모듈

    - 변환된 매크로-macro~~~

    라고 적힌 것을 더블클릭 하시면 오른쪽 그림에

    docmd.close, ""

    와 같은 변환된 매크로의 코드가 표시됩니다.

    이코드를 드래그 하셔서 범위로 지정하고 복사한 후

    원래 이벤트 프로시저가 작성되어야 하는 프로시저 창에 붙여 넣으시면 됩니다.

    2.

    dcomd 는 매크로를 실행하기 위한 것이라고 생각 하시면 되구요.

    어떤 프로시저인지에 따라 다르게 사용됩니다.

    docmd.close ,,acsaveno

    docmd.close acform,폼명,저장여부

    생략된 부분은 폼이나 보고서등 어느것을 닫을지와 어떤 개체를 닫을지를 지정하는 부분입니다.

    acsaveno 는 저장을 하지 않는 다는 것입니다.

    저장하지 않고 닫을때 사용하시면 됩니다.

    docmd.openreport "업체별거래내역", acveiwpreview, "left([거래처코드],2) ='AA'"

    와 같이 사용되는 보고서미리보기 프로시저도 있습니다.

    각 프로시저 작성법에 맞는 내용들을 확인 해 보시기 바랍니다.

    3. 책 중간중간에 함수부분등이 정리된 부분이 있긴 합니다. (p.100~106)

    완벽히 정리된 것은 없습니다.

    4. 정확한 결과가 나오면 상관 없습니다.

    피벗테이블 이동 메뉴를 이용하여 이동하시는 것이 더 정확하시겠죠.

    5. "" 은 공백 즉 띄어쓰기 같은게 있어야지 사용이 가능 합니다.

    txt이름에 아무것도 입력 하지 않은 것이라면 isnull 을 사용하셔야 하지요.

    아무것도 입력되지 않은것과 공백은 다른 것입니다.

    6.

    변수를 사용하면

    aa = msgbox(" ~~

    로 작성해야 하고

    변수가 없으면

    msgbox " ~~

    로 작성하시면 됩니다.

    변수를 지정하는 경우는 msgbox(" ~

    로 msgbox뒤에 괄호를 사용해야 하고

    변수가 없을때는 괄호 없이 작성하시면 됩니다.

    변수가 있고 없고의 차이입니다.

    결과가 정확히 나온다면 정답으로 인정 됩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5MB 이하의 zip, 문서, 이미지 파일만 가능합니다.
· 폭언, 욕설, 비방 등은 관리자에 의해 경고없이 삭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