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86 2번 3번 이해가 안가요ㅜ
p.87 1번, 2번 이해가 안가요ㅜ
FIND 함수는 문자열에 포함된 특정 문자를 찾아 그 위치를 반환하는 함수인데, 바이트 단위로 구분하여 위치를 반환합니다.
보통의 경우 영문, 숫자 한 글자를 1바이트, 한글, 한자, 특수문 한 글자를 2바이트를 사용하여 표시합니다.
'★꿈! 夢! Dream★'에서 '★꿈夢★' 이렇게 4글자는 2바이트씩이고, 영문, !, 빈칸은 1바이트로 하여 계산한 것입니다.
그러므로 '★꿈! 夢! Dream★'에서 'e'를 찾으면 13으로 나오는 것입니다.
=searchb("다","가나다라")
결과 : 5
한글/한자는 한글자당 2바이트를 가지고 있고, 다는 세번째에 있습니다.
"가" 라는 글자가 2바이트는, "나" 라는 글자가 2바이트를 가지고 있으니..(총4바이트)
"다" 의 시작위치는 5바이트부터 시작되므로,결과값은 5가 나오게 됩니다.
find 함수와 search 함수는 사용법과 결과가 비슷한 함수이고, 일반적인 차이는 find 함수는 대소문자를 구분하여 찾지만(A와 a 를 다른문자로 취급) , search 함수는 대소문자를 구분하지 않습니다.
(A 와 a 를 같은문자로 취급)
둘다 함수 뒤에 b가 붙으면 (findb, searchb) 글자수가 아닌 바이트수로 구합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
*2016-07-26 09:49:25
FIND 함수는 문자열에 포함된 특정 문자를 찾아 그 위치를 반환하는 함수인데, 바이트 단위로 구분하여 위치를 반환합니다.
보통의 경우 영문, 숫자 한 글자를 1바이트, 한글, 한자, 특수문 한 글자를 2바이트를 사용하여 표시합니다.
'★꿈! 夢! Dream★'에서 '★꿈夢★' 이렇게 4글자는 2바이트씩이고, 영문, !, 빈칸은 1바이트로 하여 계산한 것입니다.
그러므로 '★꿈! 夢! Dream★'에서 'e'를 찾으면 13으로 나오는 것입니다.
=searchb("다","가나다라")
결과 : 5
한글/한자는 한글자당 2바이트를 가지고 있고, 다는 세번째에 있습니다.
"가" 라는 글자가 2바이트는, "나" 라는 글자가 2바이트를 가지고 있으니..(총4바이트)
"다" 의 시작위치는 5바이트부터 시작되므로,결과값은 5가 나오게 됩니다.
find 함수와 search 함수는 사용법과 결과가 비슷한 함수이고, 일반적인 차이는 find 함수는 대소문자를 구분하여 찾지만(A와 a 를 다른문자로 취급) , search 함수는 대소문자를 구분하지 않습니다.
(A 와 a 를 같은문자로 취급)
둘다 함수 뒤에 b가 붙으면 (findb, searchb) 글자수가 아닌 바이트수로 구합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