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습문제 4번에서요.
총점이 250 이상인 사람의 과목 합계1(b11)
80점 이상 95점 이하의 사람의 과목 합계(b12)
라는 문제에서요
1)총점이 250 이상인 사람의 과목 합계1(b11) 식이 =sumif($e$3:$e$8,">=250,b3:b8) 이고
2)80점 이상 95점 이하의 사람의 과목 합계(b12) 식은 =sumifs(b3:b8,b3:b8,">=80",b3:b8,"<=95")
인데요. 저는 식을 세울때 1)번을 참고하여 2)번을 =sumifs(b3:b8,">=80",b3:b8,"<=95",b3:b8) 라고 했었습니다. 왜 1)번 식에서는 총점이 250 이상인 사람의 라는 조건을 앞에썼는데
2)번 식에서는 80점 이상 95점 이하의 사람의 라는 조건이 뒤로가고 합계의 범위인 b3:b8을 앞에 먼저 써줬는지 궁금합니다.
아! 그리고
상대참조와 절대참조의 구분이 잘 안됩니다. 예를 들면 위에 1),2)식에서도 어떤 식은 절대참조를 쓰고 어떤식은 상대참조를 쓰는데 그 기준이 어떤건지 쉽게 설명부탁드립니다.
늘 친절한 답변 감사합니다 정말 도움이 많이x100 됩니다^^!!
질문이 하나 더 생겼습니다. ㅜㅜ p129에서 텍스트 함수 FIXED에 관한 설명중 논리값이라는 용어가 나오는데
논리값이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1. 인수를 그렇게 지정하도록 함수가 만들어졌기때문입니다. 이것을 저희가 어떻게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네요.
2. 하나의 셀에 수식을 입력한 후 채우기 핸들을 드래그하여 나머지 셀에도 값을 구하고자 할때, 각 셀에 동일하게 들어갈 범위는 절대참조로 지정하고, 그때마다 바껴야 하는 부분은 상대참조로 지정하면 됩니다. 해당 데이터의 전체 범위를 지정한 경우 대부분 절대참조로 지정합니다.
3. true, false를 의미합니다. fixed 함수에서의 논리값은 지정한 값에 쉼표가 없으면 true, 있으면 false를 지정하면 됩니다.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4-05-21 13:51:01
안녕하세요.
1. 인수를 그렇게 지정하도록 함수가 만들어졌기때문입니다. 이것을 저희가 어떻게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네요.
2. 하나의 셀에 수식을 입력한 후 채우기 핸들을 드래그하여 나머지 셀에도 값을 구하고자 할때, 각 셀에 동일하게 들어갈 범위는 절대참조로 지정하고, 그때마다 바껴야 하는 부분은 상대참조로 지정하면 됩니다. 해당 데이터의 전체 범위를 지정한 경우 대부분 절대참조로 지정합니다.
3. true, false를 의미합니다. fixed 함수에서의 논리값은 지정한 값에 쉼표가 없으면 true, 있으면 false를 지정하면 됩니다.
즐거운 하루 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