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열 수식에서 ..개수를 구하는 배열 수식은 세 가지 식
1.{=sum((조건)*1)}
2.{=sum(if(조건,1)}
3.{=count(if(조건,1))}
이렇게 되는데 98page 20번문제에서
1번은{=count(if(C2:C6="컴활2급",1,0))}
2번{=sum(if(C2:C6="컴활2급",1,0))} 인데 답은 2번이예요.
여기서 0은 왜 들어가죠? 식에는 없는듯한데..
그리고 1번이 답이 되려면 {=count(if(C2:C6="컴활2급",1))} 이여야 한다는데..
1번은 0이 없어야 답이되고 , 2번은 있는데 답이 되는 이유가 뭐예요?
안녕하세요.
합계(sum)를 구할 때는 0을 더하든, 않더하든 결과값에는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sum(if(C2:C6="컴활2급",1,0))}에서도 if 함수의 조건을 만족하지 않을 때 넣는 0은 넣든, 안 넣든 상관 없습니다.
count 함수는 수치 데이터의 개수를 구하는 함수인데, 0도 수치데이터에 포함됩니다. 그러므로 if 함수의 조건을 만족하지 않을 때 0을 넣으면 0도 개수에 포함되서 개수를 구하므로 조건에 상관 없이 전체 개수를 구하게 됩니다.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3-04-09 09:27:57
안녕하세요.
합계(sum)를 구할 때는 0을 더하든, 않더하든 결과값에는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sum(if(C2:C6="컴활2급",1,0))}에서도 if 함수의 조건을 만족하지 않을 때 넣는 0은 넣든, 안 넣든 상관 없습니다.
count 함수는 수치 데이터의 개수를 구하는 함수인데, 0도 수치데이터에 포함됩니다. 그러므로 if 함수의 조건을 만족하지 않을 때 0을 넣으면 0도 개수에 포함되서 개수를 구하므로 조건에 상관 없이 전체 개수를 구하게 됩니다.
즐거운 하루 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