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내용 질문하기
질문이요!!
도서
[2012] 컴퓨터활용능력 1급 필기
페이지
74
조회수
142
작성일
2012-06-28
작성자
첨부파일

1번문제에서

CPU점유율에 낮다고 했는데 왜 SCSI가 점유율이 낮은건가요? 직렬이기 때문인가요?

그리고 별도의 카드를 장착하여 연결한다고 했는데, 어떻게 알 수 있는 건가요?

3번에서는 파티션한다는 것과 인터리브되어 있다는 용어가 나오는데요. 설명좀 부탁합니다.

4번에서는 보기 1번에 스카시 어댑터 카드가 제대로 장착되었는지 다른 장치와 IRQ충돌이 없는지 점검한다고 나와있는데, 스카시 어댑터 카드가 무엇이고, 이 것이 점검해야 하는 이유를 알려주세요.

5번에 보기2번에서 프로토콜 전체 단계에 CRC를 적용하여 데이터의 신뢰성이 높아졌다. 라고 나와있는데요.

CRC가 무엇을 말하는 것이고, 이해하기 쉽게 설명좀 부탁드려요.

6번에 보기1번에서는 프로세서와 디스크 드라이브 사이의 속도 차이를 개선한다고 나와있는데요. 이것은 데이터를 여러개의 디스크에 미러방식과 스트라이핑 방식을 해서 속도가 빨라졌다는 뜻인가요?

답변
2012-06-29 10:03:24

안녕하세요. 길벗 수험서 운영팀입니다.

1. scsi는 cpu 대신 컨트롤러 자체에서 입출력을 처리하기 때문에 cpu점유율이 낮습니다.

2. 어떻게 안다는 것은 무엇을 말씀하시는 건가요? scsi 자체가 별도의 카드를 이용합니다. 직접 보시면 알 수 있을 것 같기도 하네요.

3. 파티션은 말 그대로 하나의 드라이브를 여러 개로 나누는 것을 말합니다. 인터리브는 성능을 높이기 위해 데이터가 서로 인접하지 않도록 배열하는 방식입니다.

4. 스카시는 scsi를 말합니다. 스카시 어댑터는 이것을 연결해주는 장치죠. scsi 장치가 인식되지 않으니까 연결해주는 장치를 점검하는 것은 당연하죠.

5. crc는 에러를 체크하는 코드입니다. 데이터를 전송할 때는 명령, 데이터 블록, 상태를 하나의 묶음으로 전송하는데, 기존 병렬 전송에서는 데이터에만 crc를 넣었는데, S ata에서는 전체 신호에 crc를 삽입하여 신뢰성을 높였다는 것입니다.

6. raid를 구성하는 방식은 여러 가지 입니다. 그 방식에는 차이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속도 향상과 저장 공간 확보 등을 목적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면 여러개의 디스크에 동일한 데이터를 저장하여 읽어오면 빠르게 읽어 올 수 있는 것이죠.

좋은 하루 되세요.

"
  • *
    2012-06-29 10:03:24

    안녕하세요. 길벗 수험서 운영팀입니다.

    1. scsi는 cpu 대신 컨트롤러 자체에서 입출력을 처리하기 때문에 cpu점유율이 낮습니다.

    2. 어떻게 안다는 것은 무엇을 말씀하시는 건가요? scsi 자체가 별도의 카드를 이용합니다. 직접 보시면 알 수 있을 것 같기도 하네요.

    3. 파티션은 말 그대로 하나의 드라이브를 여러 개로 나누는 것을 말합니다. 인터리브는 성능을 높이기 위해 데이터가 서로 인접하지 않도록 배열하는 방식입니다.

    4. 스카시는 scsi를 말합니다. 스카시 어댑터는 이것을 연결해주는 장치죠. scsi 장치가 인식되지 않으니까 연결해주는 장치를 점검하는 것은 당연하죠.

    5. crc는 에러를 체크하는 코드입니다. 데이터를 전송할 때는 명령, 데이터 블록, 상태를 하나의 묶음으로 전송하는데, 기존 병렬 전송에서는 데이터에만 crc를 넣었는데, S ata에서는 전체 신호에 crc를 삽입하여 신뢰성을 높였다는 것입니다.

    6. raid를 구성하는 방식은 여러 가지 입니다. 그 방식에는 차이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속도 향상과 저장 공간 확보 등을 목적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면 여러개의 디스크에 동일한 데이터를 저장하여 읽어오면 빠르게 읽어 올 수 있는 것이죠.

    좋은 하루 되세요.

    "
· 5MB 이하의 zip, 문서, 이미지 파일만 가능합니다.
· 폭언, 욕설, 비방 등은 관리자에 의해 경고없이 삭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