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내용 질문하기
95번 데이터베이스 함수 연습문제 4,5,6번
도서
[2011] SUMMARY 컴퓨터활용능력 1급 필기
페이지
121
조회수
112
작성일
2011-07-08
작성자
첨부파일

항상 명쾌한 답변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오늘도 질문이요!

1.

95번 데이터베이스 함수 기출문제에서요..

PMT함수는 "이자를 포함하여 매월 상환해야 하는 금액 계산"하는 함수라고 정의가 되어있는데요.

4번의 문제 같은 경우는 "매월 저축해야할 금액을 계산하시오"가 문제인데 정답식대로 계산한다면 이자도 같이 계산 되어 있으므로 틀린 것 아닌가요??

2.

6번 문제는 복리이자율로 계산하라고 되어 있는데 정답수식은 위의 4,5번과 다를게 없네요. 그렇다면 복리 이자율이나 그냥 이자율이나 다른 것이 무엇인지?

또, 정답 해설에는 미래가치가 기재되어 있지 않아 생략했다고 하는데, 현재가치나 미래가치는 상황에 따라 생략가능한 것인가요? 실제로 시험문제에서 언급이 되어 있지 않다면 생략해버려도 되는것인지?

3.

재무함수에서 나오는 이자나 기간 등은 달수로만 입력해야 되는 것인지 아니면 달이던 년이던 한 가지로 통일을 해야 하는 것인지 궁금하네요.

4.

그리고 96번 배열수식 기출문제2번이요,

문제에 "배열 수식을 입력하면"이 아니라 "Ctrl+Shift+Enter를 입력하면"이 맞는 것 아닌가요?ㅜ

배열수식만 입력하면 중괄호 안 되잖아요 ㅜㅜ 그런데 왜 O가 맞는거에여??

5.

98번 배열수식에서 조건이 한 개일 때 배열 수식을 이용하여 개수 구하는 방법에서 왜 뒤에 "1"이 붙는 것이지 이해가 안 가네요..특히나 IF함수는 IF(조건, 인수1, 인수2)아니었던가요ㅜ

IF 조건이 참이면 1을 실행하라는 소린지 방법1에는 왜 1을 곱하는 건지 설명좀 ㅜ

6.

마지막으로 98번 기출 문제 2번 "조건이 한 개일 때 배열 수식을 이용하여 개수 구하는 방법" 해설에 나온

거랑 앞 페이지 설명에 나온 거랑 방법1과 방법3이 다른데 왜 다른 것인지 모르겠어요

질문이 너무 많나요... ^^;;

답변
2011-07-08 10:01:22

안녕하세요. 길벗 수험서 운영팀입니다.

1. PMT(이자, 기간, 현재가치, 미래가치, 납입시점) 함수에서 현재가치에 값을 입력하여 즉, 일정 금액을 대출받았을 경우 매달 상환할 금액을 구할 떄는 내야할 이자까지 포함하여 내야할 금액을 계산하고, 미래가치에 값을 입력하여, 즉 미래에 일정 금액을 모으려고 할 때 매달 저축할 금액을 구할 때는 해당 금액을 냈을경우 붙을 이자까지 포함하여 해당 금액을 모으는 것이므로 이때는 매월 불립금액에서 이자를 제외한 금액으로 계산이 되는 것입니다. 즉 이자를 더 내야할지, 아니면 이자가 붙을 것을 제외하고 계산하는 것은 함수가 자체적으로 알아서 한다고 보면 됩니다.

2. 이자가 붙을 경우 이자금액만을 그때그때 은행에서 빼는게 아니므로 이자에 이자가 붙는 복리이율로 계산이 됩니다. 그러니 이율을 계산할때는 복리이율이라는 말이 붙이 않아도 기본적으로 복리이율로 계산됩니다.

또, 정답 해설에는 미래가치가 기재되어 있지 않아 생략했다고 하는데, 현재가치나 미래가치는 상황에 따라 생략가능한 것인가요? 실제로 시험문제에서 언급이 되어 있지 않다면 생략해버려도 되는것인지?

-> 네

3. 달 수로 계산해야 합니다.

4. 배열수식이라는 것은 Ctrl+Shift+Enter를 눌러 입력한 수식 자체를 말하는 것입니다. 즉 Ctrl+Shift+Enter를 눌러 배열수식을 입력하면 {}가 붙는다와 같은 말입니다.

5. IF 조건에서 조건이 참일 때 1을 넣은 후 이 1의 합계(SUM)나 개수(COUNT)를 구하면 결국 조건을 만족하는 셀의 개수를 세는 것과 같으므로 1을 넣은 것입니다.

IF 함수를 사용하지 않고 SUM 함수만을 사용하여 개수를 구할 떄 뒤에 *1을 해준 것은 A2>=5 또는 A2="A" 등과 같이 관계 연산자를 이용하여 조건을 지정하면 결과값은 조건이 참이면 TRUE, 거짓이면 FALSE를 표시되는데 여기에 1을 곱해주면 TRUE*1=1, FALSE*1=0이 되므로 *1을 해준 것입니다.

6. 기출문제2번이 맞나요? 2번은 조건이 두개일때이고, 앞페이지랑 같은데... 기출문제1,3번을 봐도 해당 내용인 아닌거 같고... 제가 못찾아서 그러니 죄송하지만 질문을 좀더 자세히 해주세요.

즐거운 하루 되세요.

"
  • *
    2011-07-08 10:01:22

    안녕하세요. 길벗 수험서 운영팀입니다.

    1. PMT(이자, 기간, 현재가치, 미래가치, 납입시점) 함수에서 현재가치에 값을 입력하여 즉, 일정 금액을 대출받았을 경우 매달 상환할 금액을 구할 떄는 내야할 이자까지 포함하여 내야할 금액을 계산하고, 미래가치에 값을 입력하여, 즉 미래에 일정 금액을 모으려고 할 때 매달 저축할 금액을 구할 때는 해당 금액을 냈을경우 붙을 이자까지 포함하여 해당 금액을 모으는 것이므로 이때는 매월 불립금액에서 이자를 제외한 금액으로 계산이 되는 것입니다. 즉 이자를 더 내야할지, 아니면 이자가 붙을 것을 제외하고 계산하는 것은 함수가 자체적으로 알아서 한다고 보면 됩니다.

    2. 이자가 붙을 경우 이자금액만을 그때그때 은행에서 빼는게 아니므로 이자에 이자가 붙는 복리이율로 계산이 됩니다. 그러니 이율을 계산할때는 복리이율이라는 말이 붙이 않아도 기본적으로 복리이율로 계산됩니다.

    또, 정답 해설에는 미래가치가 기재되어 있지 않아 생략했다고 하는데, 현재가치나 미래가치는 상황에 따라 생략가능한 것인가요? 실제로 시험문제에서 언급이 되어 있지 않다면 생략해버려도 되는것인지?

    -> 네

    3. 달 수로 계산해야 합니다.

    4. 배열수식이라는 것은 Ctrl+Shift+Enter를 눌러 입력한 수식 자체를 말하는 것입니다. 즉 Ctrl+Shift+Enter를 눌러 배열수식을 입력하면 {}가 붙는다와 같은 말입니다.

    5. IF 조건에서 조건이 참일 때 1을 넣은 후 이 1의 합계(SUM)나 개수(COUNT)를 구하면 결국 조건을 만족하는 셀의 개수를 세는 것과 같으므로 1을 넣은 것입니다.

    IF 함수를 사용하지 않고 SUM 함수만을 사용하여 개수를 구할 떄 뒤에 *1을 해준 것은 A2>=5 또는 A2="A" 등과 같이 관계 연산자를 이용하여 조건을 지정하면 결과값은 조건이 참이면 TRUE, 거짓이면 FALSE를 표시되는데 여기에 1을 곱해주면 TRUE*1=1, FALSE*1=0이 되므로 *1을 해준 것입니다.

    6. 기출문제2번이 맞나요? 2번은 조건이 두개일때이고, 앞페이지랑 같은데... 기출문제1,3번을 봐도 해당 내용인 아닌거 같고... 제가 못찾아서 그러니 죄송하지만 질문을 좀더 자세히 해주세요.

    즐거운 하루 되세요.

    "
· 5MB 이하의 zip, 문서, 이미지 파일만 가능합니다.
· 폭언, 욕설, 비방 등은 관리자에 의해 경고없이 삭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