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심95, 데이터베이스 함수 관련 문제 3번이 이해가 안되는데요,
다른 질문글들도 찾아서 봤는데 답변이 제대로 되어있지 않더군요.
문제 3번의 해설을 보면 조건 2가지를 이용해서 값을 구할 때,
사과이거나 나이가 10보다 큰 나무의 개수를 구한 결과값이라고 나와있습니다.
(그런데 이 부분에서 나이라고 써있는 것은 오타인가요? 높이라고 써있어야 할 것 같은데요..)
어쨌든 이 문제에서는 OR 조건으로 값을 구한 것 같은데
(사과의 개수는 3개이지만 높이가 10 이상인 나무는 4그루이니까 어쨌든 값은 4. 맞나요?)
바로 전 문제인 2번 문제에서는 직급이 대리이면서 기본급 10000 이상인 직원들의 연령을 구하라고 돼있네요.
그렇다면 이 문제에서는 대리라는 직급과 기본급 10000 이상이라는 조건을 모두 충족시키는 값(교집합)을 구하라는 것 같은데 이 경우에는 조건이 AND로 처리된 것 아닌가요?
이럴 경우에 어떤 경우가 AND로 하라는거고 어떨 때 OR로 구하라는건지 어떻게 구분할 수 있습니까?
안녕하세요. 길벗 수험서 운영팀입니다.
데이터베이스 함수에서는 조건 지정 방법은 고급필터의 조건 지정 방법과 같습니다. 132쪽의 핵심 109를 먼저 공부하세요.
데이터베이스 함수에서 조건을 지정할 때는 첫번째 행에는 필드명을 입력하고 두번째 행부터 조건을 지정하면 되는데, 이떄 지정하는 조건을 모두 같은 행에 지정하면 AND 조건, 서로 다른 행에 조건을 지정하면 OR 조건입니다. 121쪽 2번 문제의 경우 직급과 기본급에 대한 조건이 10행에 모두 입력되어 있으므로 AND 조건이고, 3번 문제의 경우는 나무에 대한 조건은 9행, 높이에 대한 조건은 10행, 즉 서로 다른 행에 조건을 지정하였으므로 OR 조건입니다.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1-06-30 09:18:25
안녕하세요. 길벗 수험서 운영팀입니다.
데이터베이스 함수에서는 조건 지정 방법은 고급필터의 조건 지정 방법과 같습니다. 132쪽의 핵심 109를 먼저 공부하세요.
데이터베이스 함수에서 조건을 지정할 때는 첫번째 행에는 필드명을 입력하고 두번째 행부터 조건을 지정하면 되는데, 이떄 지정하는 조건을 모두 같은 행에 지정하면 AND 조건, 서로 다른 행에 조건을 지정하면 OR 조건입니다. 121쪽 2번 문제의 경우 직급과 기본급에 대한 조건이 10행에 모두 입력되어 있으므로 AND 조건이고, 3번 문제의 경우는 나무에 대한 조건은 9행, 높이에 대한 조건은 10행, 즉 서로 다른 행에 조건을 지정하였으므로 OR 조건입니다.
즐거운 하루 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