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에서 보기에 있는 게 분수가 아니라 다른 영역에 있는거 구분이라고 하셨는데, 그러면 위에 있는 값은 뭘 뜻하는 거고 밑에 있는 값은 뭘 뜻하는 건가요?
그리고 위에 있는 값이 평균판매수량이랑 판매수량 두 개가 보기로 있는데, 왜 평균판매수량이 위에 있는 보기가 답이 되는건가요?
혼자서 공부하니까 너무 어렵네요. 강의도 다 있는게 아니라 토막으로 있어서 막상 정말 모르는 부분은 강의도 없어서 너무 공부하기 힘드네요.
답장 빨리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 고급 필터를 실행하려면 실행하기 전에 조건을 미리 입력해야 하고, 조건을 입력할 때는 첫 행에는 원본 데이터 목록의 필드명을 입력하고, 그 아래 행에 조건을 입력해야 합니다. 가운데 선은 셀을 구분해서 입력하라는 의미로, 위에 있는 부분을 입력한 다음 그 아래 행에 수식 부분을 입력하라는 의미입니다.
. 고급 필터의 조건을 입력할 때 일반적으로는 첫 행에 원본 데이터 목록의 필드명을 입력합니다. 보기 중 3번과 4번이 바로 그림, 즉 원본 데이터에 있는 필드명인 판매수량을 입력한 것입니다. 하지만 이 문제처럼 고급 필터의 조건으로 함수나 식을 사용한 경우에는 원본 데이터의 필드명과 다른 필드명을 입력하거나 생략을 해야 합니다. 1, 2번의 경우는 원본 데이터에 없는 임의의 필드명인 평균만패수량을 만들어 입력한 것입니다.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7-01-09 10:21:47
안녕하세요.
. 고급 필터를 실행하려면 실행하기 전에 조건을 미리 입력해야 하고, 조건을 입력할 때는 첫 행에는 원본 데이터 목록의 필드명을 입력하고, 그 아래 행에 조건을 입력해야 합니다. 가운데 선은 셀을 구분해서 입력하라는 의미로, 위에 있는 부분을 입력한 다음 그 아래 행에 수식 부분을 입력하라는 의미입니다.
. 고급 필터의 조건을 입력할 때 일반적으로는 첫 행에 원본 데이터 목록의 필드명을 입력합니다. 보기 중 3번과 4번이 바로 그림, 즉 원본 데이터에 있는 필드명인 판매수량을 입력한 것입니다. 하지만 이 문제처럼 고급 필터의 조건으로 함수나 식을 사용한 경우에는 원본 데이터의 필드명과 다른 필드명을 입력하거나 생략을 해야 합니다. 1, 2번의 경우는 원본 데이터에 없는 임의의 필드명인 평균만패수량을 만들어 입력한 것입니다.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