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122-123의 기출문제 중 1, 2, 6번 해설을 보면 계속해서 메모리 용량 부족과 디스크 용량 부족에 대한 문제 해결 방법을 구분할 줄 알아야 된다고 명시가 되어 있습니다.
122쪽의 1번 문항을 보면 ③ [휴지통]이나 하드디스크의 임시 기억 장소에 저장된 불필요한 파일을 삭제한다. 라는 문항이 메모리 용량 부족이 아닌 디스크의 용량 부족에 대한 문제 해결 방법이므로 옳지 않은 것으로 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123쪽의 6번 문항을 보면 ② [디스크 공간 부족]일 경우에는 열려진 프로그램이나 문서 중 불필요한 것을 종료한다. 라는 보기가 디스크 공간 부족이 아닌 메모리 부족의 해결책이기 때문에 답이 ②번으로 표기가 되어있는데, 그렇다면 ① [메모리 부족]일 경우에는 가상 메모리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휴지통, 임시 파일, 사용하지 않는 프로그램 등을 삭제한다. 라는 보기 역시 122쪽의 1번 문항을 비추어 봤을 때 메모리 부족에 대한 해결책이 아닌 디스크 용량 부족에 대한 해결책이 아닌가 하고 생각됩니다. 마찬가지로 24 section의 설명(120쪽)에서도 이는 하드디스크 용량 문제를 해결하는 파트에 명시가 되어 있고요.
이에 대한 답변 부탁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123쪽 6번 문제를 보면 '가장 거리가 먼 것을 찾으라고 되어 있습니다. 4개 보기 중 확실히 틀린 것은 2번입니다. 열려진 프로그램이나 문서 중 불필요한 것을 종료한다고 디스크 공간 부족 문제가 해결되지는 않습니다. 1번 보기의 경우 크게 메모리 부족과 디스크 공간 부족으로 구분한다면 문제의 1번 보기에 있는 휴지통, 임시파일 등의 삭제는 디스크 공간이 부족할 때의 해결 방법이 맞습니다. 하지만 그것들을 삭제하면 가상 메모리가 늘고 메모리 부족 문제가 조금이나마 해결되기때문에 맞는 것으로 본것입니다.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6-07-20 09:12:26
안녕하세요.
123쪽 6번 문제를 보면 '가장 거리가 먼 것을 찾으라고 되어 있습니다. 4개 보기 중 확실히 틀린 것은 2번입니다. 열려진 프로그램이나 문서 중 불필요한 것을 종료한다고 디스크 공간 부족 문제가 해결되지는 않습니다. 1번 보기의 경우 크게 메모리 부족과 디스크 공간 부족으로 구분한다면 문제의 1번 보기에 있는 휴지통, 임시파일 등의 삭제는 디스크 공간이 부족할 때의 해결 방법이 맞습니다. 하지만 그것들을 삭제하면 가상 메모리가 늘고 메모리 부족 문제가 조금이나마 해결되기때문에 맞는 것으로 본것입니다.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