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내용 질문하기
질문이요
도서
2016 시나공 SUMMARY 컴퓨터활용능력 1급 필기
페이지
142
조회수
150
작성일
2016-02-13
작성자
첨부파일
142page 핵심108 배열 수실의 활용에서
※조건의 개수에 따라 조건을 지정하는 부분만 아래와 같이 늘어납니다.
이부분에서 방법3에 {=COUNT( IF(조건1, IF(조건2, 1) ) )} 이렇게 나와있는데
{=COUNT( IF( (조건1) * (조건2) ,1) )} 이수식이랑은 무슨차이인가요?
책에서 설명할때는 방법3 {=COUNT( IF(조건1, IF(조건2, 1) ) )} 처럼 나와있는데,
23page 실습08 배열 수식의 활용을 풀다보니까 해설에는 {=COUNT( IF( (조건1) * (조건2) ,1) )} 이렇게 나와있어서
물어봅니다.
답변
2016-02-17 09:23:59
안녕하세요.
방법의 차이라고 보면 됩니다. if 문을 두번 사용하는 {=COUNT( IF(조건1, IF(조건2, 1) ) )}과 if 문을 하나만 사용하는 대신에 두 조건을 and(*)로 연결하는 {=COUNT( IF( (조건1) * (조건2) ,1) )}는 방법만 다를 뿐 결과는 동일하므로 둘 중 어떤 것을 사용하든 상관 없습니다.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6-02-17 09:23:59
안녕하세요.
방법의 차이라고 보면 됩니다. if 문을 두번 사용하는 {=COUNT( IF(조건1, IF(조건2, 1) ) )}과 if 문을 하나만 사용하는 대신에 두 조건을 and(*)로 연결하는 {=COUNT( IF( (조건1) * (조건2) ,1) )}는 방법만 다를 뿐 결과는 동일하므로 둘 중 어떤 것을 사용하든 상관 없습니다.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