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번문제에 수치데이터인 0을 넣으면 답이 8이 된다고 한 부분이 잘모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COUNT(IF(B2:B9=“영업1부”,1,0))}’은 IF 함수의 결과가 참이면 1을, 거짓이면 0을 넣은 후 COUNT 함수를 이용하여 수치 데이터의 개수를 세는 수식입니다. 그런데, COUNT 함수는 수치 데이터의 개수를 구하는 함수인데, IF 함수의 결과값에 따라 다르게 넣은 1과 0은 모두 수치 데이터이므로, IF 함수의 결과와는 상관 없이 결과값은 범위의 전체 데이터 개수인 8이 결과값으로 나옵니다. {=COUNT(IF(B2:B9=“영업1부”,1,0))}’을 올바르게 수정하면 {=SUM(IF(B2:B9=“영업1부”,1,0))}’으로 COUNT 함수 대신 SUM 함수를 사용해야 합니다.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6-01-12 09:41:36
안녕하세요.
{=COUNT(IF(B2:B9=“영업1부”,1,0))}’은 IF 함수의 결과가 참이면 1을, 거짓이면 0을 넣은 후 COUNT 함수를 이용하여 수치 데이터의 개수를 세는 수식입니다. 그런데, COUNT 함수는 수치 데이터의 개수를 구하는 함수인데, IF 함수의 결과값에 따라 다르게 넣은 1과 0은 모두 수치 데이터이므로, IF 함수의 결과와는 상관 없이 결과값은 범위의 전체 데이터 개수인 8이 결과값으로 나옵니다. {=COUNT(IF(B2:B9=“영업1부”,1,0))}’을 올바르게 수정하면 {=SUM(IF(B2:B9=“영업1부”,1,0))}’으로 COUNT 함수 대신 SUM 함수를 사용해야 합니다.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