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번
ssd 개념.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와 비슷하게 동작하면서 hdd와는 달리 기계적 장치가 없는 반도체를 이용하여 정보를 저장하는 컴퓨터 보조기억장치
1. 드라이브가 무슨 뜻이죠? hdd와 달리 기계적 장치가 없다는 얘기가 무슨 뜻이죠? 반도체도 기계라고 볼 수 있지 않나요? 반도체가 무엇이죠?
특징 . 디스크가 아닌 메모리에 데이터를 기록하므로 배드섹터가 발생하지 않는다.
2. 디스크는 무엇이고 메모리는 무엇인가요? 또 배드섹터는 무슨 뜻이죠?
추가. 플로피디스크에서 디스켓은 무슨 뜻이죠?
14번
하드웨어와 그 성능을 나타내는 단위. 기억장치의 접근 속도란 무슨 듯인가요? 무엇인 접근한다는 거죠?
CPU : FLOPS은 무엇이죠? DVD-ROM 배속은 무슨 의미죠?
안녕하세요.
1, 2)
물리적으로 데이터를 직접 기록하는 것이 아니라
전기적인 신호의 형태로 데이터를 기록한다는 의미입니다. 그래서 물리적인 오류인 배드섹터가 발생하지 않는다는 것이죠.
3)
플로피 디스크란 최근에는 거의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얇은 플라스틱 원판을 디스크로 사용하는 보조기억장치입니다.
4)
기억장치 접근 속도란
기억장치에 데이터를 읽거나 쓰기 위해 접근하는 속도를 말합니다.
5)
FLOPS는 컴퓨터, 즉 CPU가 1초에 부동소수점 연산을 몇 번 수행할 수 있느냐 하는 연산 횟수를 타나내는 단위입니다.
CD나 DVD에서 배속은 데이터를 읽거나 쓰는 속도의 단위입니다. 배속이 높으면 그 만큼 읽고 쓰는 속도가 빠르다는 것이죠.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5-12-04 14:05:10
안녕하세요.
1, 2)
물리적으로 데이터를 직접 기록하는 것이 아니라
전기적인 신호의 형태로 데이터를 기록한다는 의미입니다. 그래서 물리적인 오류인 배드섹터가 발생하지 않는다는 것이죠.
3)
플로피 디스크란 최근에는 거의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얇은 플라스틱 원판을 디스크로 사용하는 보조기억장치입니다.
4)
기억장치 접근 속도란
기억장치에 데이터를 읽거나 쓰기 위해 접근하는 속도를 말합니다.
5)
FLOPS는 컴퓨터, 즉 CPU가 1초에 부동소수점 연산을 몇 번 수행할 수 있느냐 하는 연산 횟수를 타나내는 단위입니다.
CD나 DVD에서 배속은 데이터를 읽거나 쓰는 속도의 단위입니다. 배속이 높으면 그 만큼 읽고 쓰는 속도가 빠르다는 것이죠.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