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si 계층
프레임의 시작과 끝을 구분하기 위한 프레임의 동기화 기능이 있다.
1.프레임의 시작과 끝이 무슨 뜻이죠? 프레임의 동기화는 무슨의미인가요?
2.오류제어와 프레임의 순차적 전송을 위한 순서 제어는 무슨 의미죠?
3.네트워크 계층의 경로설정은 무슨 뜻이죠? 트래픽 제어는 무슨 뜻이죠?
전송 계층에서 종단 시스템간의 신뢰성있는 데이터 전송 가능.
4.종단시스템이란 무엇이죠?
5.표현계층에서 응용 계층이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1)
프레임이란 데이터가 전송되는 단위입니다.
프레임의 시작이란 전송하려는 데이터의 시작과 끝을 의미합니다.
송신측에서 보내는 데이터의 시작과 끝 위치를 수신측에서 잘못 받아드리면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수신하지 못하게 됩니다. 데이터를 하나만 보내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개, 그것도 여러 사용자의 여러 데이터가 통신회선을 공유하면서 전송되기 때문이죠.
그래서 서로 송수신할 데이터의 시작과 끝 위치를 알 수 있도록 동기화(타이밍을 맞추는)하는 작업이 필요합니다.
2)
오류는 말 그대로 잘못된 것이 있는지 살피는 것이고.
흐름 제어는 데이터의 양이 많이 흐름이 원할하지 않으면 전송되는 데이터의 양을 줄이고 반대의 경우 늘리는 등의 원할한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흐름을 살핀다는 것입니다.
3)
A에서 B로 가기 위한 선로를 여러 개가 있습니다. 그 중에서 가장 효율적인 선로를 선택해야 하는데, 이를 경로 선택이라고 합니다.
4)
종단이란 회선의 양 쪽 끝으로 송신측과 수신측 시스템, 즉 양쪽 컴퓨터를 말합니다.
5)
무슨 질문인지 모르겠습니다.
핵심 060(총정리 59쪽)을 참고하세요.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5-12-04 14:01:22
안녕하세요.
1)
프레임이란 데이터가 전송되는 단위입니다.
프레임의 시작이란 전송하려는 데이터의 시작과 끝을 의미합니다.
송신측에서 보내는 데이터의 시작과 끝 위치를 수신측에서 잘못 받아드리면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수신하지 못하게 됩니다. 데이터를 하나만 보내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개, 그것도 여러 사용자의 여러 데이터가 통신회선을 공유하면서 전송되기 때문이죠.
그래서 서로 송수신할 데이터의 시작과 끝 위치를 알 수 있도록 동기화(타이밍을 맞추는)하는 작업이 필요합니다.
2)
오류는 말 그대로 잘못된 것이 있는지 살피는 것이고.
흐름 제어는 데이터의 양이 많이 흐름이 원할하지 않으면 전송되는 데이터의 양을 줄이고 반대의 경우 늘리는 등의 원할한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흐름을 살핀다는 것입니다.
3)
A에서 B로 가기 위한 선로를 여러 개가 있습니다. 그 중에서 가장 효율적인 선로를 선택해야 하는데, 이를 경로 선택이라고 합니다.
4)
종단이란 회선의 양 쪽 끝으로 송신측과 수신측 시스템, 즉 양쪽 컴퓨터를 말합니다.
5)
무슨 질문인지 모르겠습니다.
핵심 060(총정리 59쪽)을 참고하세요.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