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1쪽에보면 2번문제에서는 배열수식 맨뒤에 1을쓰고
3번문제에서는 0을 쓴게 정답이네요..
이 1과 0은 뭘뜻하는건가요?
위에 핵심107 내용을 보면
개수를 구할때는 그냥 무조건 1을 쓰나보다 생각했고 (다른 설명이 없어서)
합계를 구할때는 1을 쓰는게 안나와있어서 그냥 조건과 합계구할 범위만 쓰면 되나보다 했는데
3번문제를 보니 0쓴게 답이네요.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SUM(IF($C$3:$C$9=G3, 1))}
조건 참
{=COUNT(IF($C$3:$C$9=G3, 1))}
조건 참
위에서 1은 if 함수의 조건이 참이면 넣는 값입니다. 위 수식은 모두 조건에 만족하는 데이터의 개수를 구하는 것으로, 조건을 만족할 떄 1을 넣은 다음 합계를 구하거나 1의 개수를 구해 결과값을 산출한 것입니다.
{=SUM(IF($C$2:$C$9=$F4,$D$2:$D$9,0))}
조건 참 거짓
위에서 0은 if 함수의 조건을 만족하지 않을때 넣는 값으로, 생략이 가능합니다.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5-01-30 11:27:16
안녕하세요.
{=SUM(IF($C$3:$C$9=G3, 1))}
조건 참
{=COUNT(IF($C$3:$C$9=G3, 1))}
조건 참
위에서 1은 if 함수의 조건이 참이면 넣는 값입니다. 위 수식은 모두 조건에 만족하는 데이터의 개수를 구하는 것으로, 조건을 만족할 떄 1을 넣은 다음 합계를 구하거나 1의 개수를 구해 결과값을 산출한 것입니다.
{=SUM(IF($C$2:$C$9=$F4,$D$2:$D$9,0))}
조건 참 거짓
위에서 0은 if 함수의 조건을 만족하지 않을때 넣는 값으로, 생략이 가능합니다.
즐거운 하루 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