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심107 배열수식의 활용
에서 문제3번이 이해가 잘 안갑니다..
보기1번 {=SUM(IF($C$2:$C$9=F4,$D$2:$D$9,0))} 이 답인데
{=SUM(IF($C$2:$C$9=F4,$D$2:$D$9))} <- 0을 아예 생략하거나
{=SUM(IF($C$2:$C$9=F4,$D$2:$D$9,1))} <- 0을 1로 바꾸면 어떤의미인가요?
저는 보기4번을 답으로 했는데 여기에서 0 또는 생략하지 않고 1을 쓴다면 뭘 나타내는건가요?
그리고 조건한개일때 배열수식 이용하여 개수 구하는 방법에서도
{=SUM(IF(조건,1))}에서 1이 무엇을 뜻하는지 모르겠습니다..
두가지 답변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SUM( IF( $C$2:$C$9=F4, $D$2:$D$9, 0 ))}
조건 참 거짓
맨 뒤에 있는 0은 if 함수에서 조건이 거짓일때 넣는 값입니다. 조건에 만족하는 셀의 총불입액을 구해야 하므로 '참'인 부분에 총불입액이 있는 d2:d9 영역을 지정한 것이고, 조건이 거짓일때는 아무것도 더하지 않아야 하므로 생략하거나 0을 넣은 것입니다. 합계를 구할 때 0은 더하나 마다 결과는 동일하기 떄문에 거짓일떄 0일 넣어도 상관없습니다.
{=SUM(IF(조건,1))}
위 배열 수식은 조건에 만족하는 셀의 개수를 구하는 것입니다. 조건이 참일때 1을 넣은 후 이것을 더하므로 개수를 구하는 것입니다.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5-01-12 09:45:29
안녕하세요.
{=SUM( IF( $C$2:$C$9=F4, $D$2:$D$9, 0 ))}
조건 참 거짓
맨 뒤에 있는 0은 if 함수에서 조건이 거짓일때 넣는 값입니다. 조건에 만족하는 셀의 총불입액을 구해야 하므로 '참'인 부분에 총불입액이 있는 d2:d9 영역을 지정한 것이고, 조건이 거짓일때는 아무것도 더하지 않아야 하므로 생략하거나 0을 넣은 것입니다. 합계를 구할 때 0은 더하나 마다 결과는 동일하기 떄문에 거짓일떄 0일 넣어도 상관없습니다.
{=SUM(IF(조건,1))}
위 배열 수식은 조건에 만족하는 셀의 개수를 구하는 것입니다. 조건이 참일때 1을 넣은 후 이것을 더하므로 개수를 구하는 것입니다.
즐거운 하루 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