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핵심98번 02.문제 해설중에서요
항상궁금하던거였는데 중괄호가 들어가는 부분인데
설명하기를
''함수의 인수로 배열을 사용하였으므로 중괄호가{ } 입력되어야 합니다.''
이부분이 이해가 안되서요
좀 자세하게 설명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길벗출판사 IT/일반 수험서 편집부 입니다.
배열 함수는 여러 개의 셀을 참조하는 함수로 함수 입력 후 ctrl+Shift+Enter을 눌러 함수 입력을 종료해야 하며 ctrl+Shift+Enter를 눌러 함수 입력을 종료하면 입력한 함수가 중괄호( { } )로 묶여집니다.
원하셨던 답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2014-08-01 16:38:52
안녕하세요. 길벗출판사 IT/일반 수험서 편집부 입니다.
배열 함수는 여러 개의 셀을 참조하는 함수로 함수 입력 후 ctrl+Shift+Enter을 눌러 함수 입력을 종료해야 하며 ctrl+Shift+Enter를 눌러 함수 입력을 종료하면 입력한 함수가 중괄호( { } )로 묶여집니다.
원하셨던 답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2014-08-01 17:48:26
엑셀에서 배열 함수는 결과를 담는 배열을 준비한 다음 해당 영역에 있는 데이터를 하나씩 비교, 분석해서 배열을 증가시킵니다. 이때 결과값이 있으면 이것을 증가시킨 배열에 담고 해당 영역에 있는 모든 작업을 마친 후, 배열 안에 저장된 결과값을 이용해서 함수를 수행하고, 또 이때의 결과값을 최종적으로 반환하는 과정을 거칩니다. 그래서 배열 함수를 사용하려면 값을 담을 수 있는 여러 개의 저장 장소인 배열에 대해서 잘 이해하고 있어야 하며, 한 개의 열이나 행의 하나 이상으로 지정한 영역에서 조건에 맞는 데이터를 고른 후 계산하고, 이 계산값을 이용해서 함수를 수행할 때 사용하는 배열 함수의 역할도 잘 알아야 합니다. 또 배열 함수는 수식을 입력한 후, ctrl+shift+enter 키를 눌러 수식을 완성하고 결과값을 반영해야 하는데, 이때 배열 함수로 계산한다는 의미로 수식의 앞, 뒤에 중괄호({, })가 자동으로 입력됩니다. 이렇게 하지 않으면 오류가 발생합니다. 배열 함수는 {=함수(계산식)}과 같은 형태로 사용하고, 계산식은 수식 연산자(*, /, +, -)로 구성됩니다. 그리고 함수의 인수로 배열을 사용한다는 의미는 함수를 어떤 동작을 할 때 넘겨받는 값이 있는데, 이때 건네받는 값으로 어떤 영역을 처음부터 끝까지 하나씩 살펴보면서 데이터가 어떤 조건이나 값과 같으면 수식을 수행하고 배열을 하나 증가시켜 이 배열에 결과값이 들어가고, 해당 데이터가 어떤 조건이나 값과 같지 않으면 배열은 하나 증가하지만 이 배열에 결과값이 0이 들어가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해당 영역의 모든 데이터를 비교하고 분석해서 검색과 계산이 끝나면 배열 안의 모든 데이터 값을 이용해서 함수를 실행한 그 결과값을 인수로 반환하는 것입니다. 설명이 좀 길어지긴 했지만, 결국 정보를 한꺼번에 담고 있는 집합체인 배열을 이용해서 함수의 기능을 구현하는 것이기 때문에 배열 함수를 이해하는 것이 어렵지만 배열을 다루는 예제에서 여러 가지 함수를 대입해서 사용하다 보면 좀더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