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내용 질문하기
저 오늘 워드 1급 필기 시험 보는데요~~
도서
[2011] SUMMARY 워드프로세서 1급 필기
페이지
21
조회수
127
작성일
2011-07-12
작성자
첨부파일

저 오늘 드뎌 워드 1급 필기 시험보는데요

내일을 앞두고 질문인데요

첫번째

DRAM의 순서가 어떻게 되나오?

누년일련번호가 쓰는것은 뭔가요??

두번째

패리티 검사 코드와 해밍코드에대해 설명~!

렘소켓에는 SIMM이 포함이 되는거나요?

디스크 조각모음은 시스템 계정이 필요한가요?

세번째

알파버전은 뭔가요?

OSI 7계층에 대해서 정확한 설명~!

암호화 기법~

이상 세가지 복합 질문입니다.

윗 세 질문에 대한 답변을 자세하게 설명해주셨으면 감사합니다~

내일 워드 1급 꿈의 3과목 올 만점 받아볼려고 합니다.^^;

시나공 덕분에 자격증 공부 할맛이 납니다~~ㅎㅎ;

답변
2011-07-13 10:05:22

안녕하세요. 길벗 수험서 운영팀입니다.

1. FPMRAM - EDORAM - SDRAM - DDR SDRAM - RDRAM - DRDRAM - SLDRAM - DDR2 SDRAM - DDR3 SDRAM

2. 법규문서, 훈령, 예규 등에서 누년일련번호를 사용합니다.

3. 패리티 검사 코드 : 코드의 오류를 검사하기 위해서 데이터 비트 외에 1Bit의 패리티 체크 비트를 추가하는 것으로 1Bit의 오류만 검출할 수 있음

해밍 코드 : 오류를 스스로 검출하여 교정이 가능한 코드로 2Bit의 오류를 검출, 1Bit의 오류 교정을 할 수 있음

4. 알파 버전 : 베타테스트를 하기 전, 제작 회사 내에서 테스트할 목적으로 제작하는 프로그램

5. OSI 7 계층

- OSI(Open Systems Interconnection) 7 계층은 기종이 서로 다른 컴퓨터 간의 정보 교환을 원활히 하기 위해 국제표준화기구(ISO, International Standards Organization)에서 제정한 것으로, 네트워크를 이루고 있는 구성 요소들을 계층적 방법으로 나누고 각 계층의 표준을 정한 것입니다.

- 물리(Physical) 계층, 데이터 링크(Data Link) 계층, 네트워크(Network) 계층, 전송(Transport) 계층, 세션(Session) 계층, 표현(Presentation) 계층, 응용(Application) 계층까지 모두 7개의 계층(Layer)으로 되어 있습니다.

6. 암호화 기법

비밀키 암호화 기법

비밀키 암호화 기법은 동일한 키로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복호화한다.

?복호화 키를 아는 사람은 누구든지 암호문을 복호화할 수 있으므로 복호화 키의 비밀성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비밀키 암호화 기법은 대칭 암호화 기법 또는 단일키 암호화 기법이라고도 하며, 대표적으로 DES(Data Encryption Standard)가 있다.

?장점 : 암호화/복호화 속도가 빠르며, 알고리즘이 단순하고 파일 크기가 작다.

?단점 : 사용자의 증가에 따라 관리해야 할 키의 수가 상대적으로 많아진다.

공개키 암호화 기법

공개키 암호화 기법은 서로 다른 키로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복호화한다.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 사용하는 키(공개키, Public key)는 공개하고, 복호화할 때의 키(비밀키, Secret key)는 비밀로 한다.

?공개키 암호화 기법은 비대칭 암호화 기법이라고도 하며, 대표적으로 RSA(Rivest Shamir Adleman)가 있다.

?장점 : 키의 분배가 용이하고, 관리해야 할 키의 개수가 적다.

?단점 : 암호화/복호화 속도가 느리며, 알고리즘이 복잡하고 파일 크기가 크다.

즐거운 하루 되세요.

"
  • *
    2011-07-13 10:05:22

    안녕하세요. 길벗 수험서 운영팀입니다.

    1. FPMRAM - EDORAM - SDRAM - DDR SDRAM - RDRAM - DRDRAM - SLDRAM - DDR2 SDRAM - DDR3 SDRAM

    2. 법규문서, 훈령, 예규 등에서 누년일련번호를 사용합니다.

    3. 패리티 검사 코드 : 코드의 오류를 검사하기 위해서 데이터 비트 외에 1Bit의 패리티 체크 비트를 추가하는 것으로 1Bit의 오류만 검출할 수 있음

    해밍 코드 : 오류를 스스로 검출하여 교정이 가능한 코드로 2Bit의 오류를 검출, 1Bit의 오류 교정을 할 수 있음

    4. 알파 버전 : 베타테스트를 하기 전, 제작 회사 내에서 테스트할 목적으로 제작하는 프로그램

    5. OSI 7 계층

    - OSI(Open Systems Interconnection) 7 계층은 기종이 서로 다른 컴퓨터 간의 정보 교환을 원활히 하기 위해 국제표준화기구(ISO, International Standards Organization)에서 제정한 것으로, 네트워크를 이루고 있는 구성 요소들을 계층적 방법으로 나누고 각 계층의 표준을 정한 것입니다.

    - 물리(Physical) 계층, 데이터 링크(Data Link) 계층, 네트워크(Network) 계층, 전송(Transport) 계층, 세션(Session) 계층, 표현(Presentation) 계층, 응용(Application) 계층까지 모두 7개의 계층(Layer)으로 되어 있습니다.

    6. 암호화 기법

    비밀키 암호화 기법

    비밀키 암호화 기법은 동일한 키로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복호화한다.

    ?복호화 키를 아는 사람은 누구든지 암호문을 복호화할 수 있으므로 복호화 키의 비밀성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비밀키 암호화 기법은 대칭 암호화 기법 또는 단일키 암호화 기법이라고도 하며, 대표적으로 DES(Data Encryption Standard)가 있다.

    ?장점 : 암호화/복호화 속도가 빠르며, 알고리즘이 단순하고 파일 크기가 작다.

    ?단점 : 사용자의 증가에 따라 관리해야 할 키의 수가 상대적으로 많아진다.

    공개키 암호화 기법

    공개키 암호화 기법은 서로 다른 키로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복호화한다.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 사용하는 키(공개키, Public key)는 공개하고, 복호화할 때의 키(비밀키, Secret key)는 비밀로 한다.

    ?공개키 암호화 기법은 비대칭 암호화 기법이라고도 하며, 대표적으로 RSA(Rivest Shamir Adleman)가 있다.

    ?장점 : 키의 분배가 용이하고, 관리해야 할 키의 개수가 적다.

    ?단점 : 암호화/복호화 속도가 느리며, 알고리즘이 복잡하고 파일 크기가 크다.

    즐거운 하루 되세요.

    "
· 5MB 이하의 zip, 문서, 이미지 파일만 가능합니다.
· 폭언, 욕설, 비방 등은 관리자에 의해 경고없이 삭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