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번 실기 시험때는 동영상 강의가 포함된 기출문제 위주로 풀었는데 정작 실기시험에선 전혀 공부 안한 문제가 나와서 완전 망했습니다
그래서 이번엔 다른 기출문제도 공부중인데요 어떤 문제지 나올지 알수가없으니 막막하네요
기출문제 전부다 공부하는건 시간적으로 힘들어요 알고리즘 하나 이해하는것도 하루종일 걸립니다.
그리고 그냥 책내용으롬나 공부하는건 감이 안잡혀요 우선 동영상강의등으로 말로 들어봐야 그제서야 책의 내용이 이해되거든요
근데 동영상강의는 5개밖에 안되서 나머지 알고리즘은 문제풀기가 힘듭니다..
안녕하세요.
알고리즘은 암기가 아닌 이해를 기반으로 학습하도록 준비되어 있습니다.
교재에 수록된 알고리즘을 통해 학습하는 것은 디버깅을 통해 빈 괄호의 항목을 찾는 방법을 배우는 것입니다.
이렇게 되면 어떤 문제가 나오더라도 그 문제를 풀어나갈 수 있게 됩니다. 물론 교재에서 학습했던 내용과 유사한 내용이 출제된다면 좀더 빠르게 문제를 해결할 수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시간이 좀 더 소요될 수는 있지만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이런 이유로 교재의 알고리즘의 패턴이 확인될 때까지 꾸준히 반복학습을 수행해야 합니다.
정보처리를 준비하는 수험생 대부분이 비전공자이고, 알고리즘 파트는 기능사, 기사, 산업기사 모두 기본 이론이 동일하므로 학습 방법은 종목에 관계없이 유사합니다. 그러니 시간을 투자하여 알고리즘 패턴을 이해한 과정을 왼쪽 메뉴 중 시나공 합격단 - 합격전략/수기 코너에서 확인해 보세요. 많은 도움을 얻을 수 있습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2-11-05 09:51:29
안녕하세요.
알고리즘은 암기가 아닌 이해를 기반으로 학습하도록 준비되어 있습니다.
교재에 수록된 알고리즘을 통해 학습하는 것은 디버깅을 통해 빈 괄호의 항목을 찾는 방법을 배우는 것입니다.
이렇게 되면 어떤 문제가 나오더라도 그 문제를 풀어나갈 수 있게 됩니다. 물론 교재에서 학습했던 내용과 유사한 내용이 출제된다면 좀더 빠르게 문제를 해결할 수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시간이 좀 더 소요될 수는 있지만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이런 이유로 교재의 알고리즘의 패턴이 확인될 때까지 꾸준히 반복학습을 수행해야 합니다.
정보처리를 준비하는 수험생 대부분이 비전공자이고, 알고리즘 파트는 기능사, 기사, 산업기사 모두 기본 이론이 동일하므로 학습 방법은 종목에 관계없이 유사합니다. 그러니 시간을 투자하여 알고리즘 패턴을 이해한 과정을 왼쪽 메뉴 중 시나공 합격단 - 합격전략/수기 코너에서 확인해 보세요. 많은 도움을 얻을 수 있습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