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번에 하도이해가안되서 답을보니 a(k-1)=k 인데요
어떻게해서 이렇게되는지 잘몰르겠어요ㅠ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저장될 값은 2부터 100까지이고, 저장될 위치는 1부터 99까지 입니다.
그래서 A(K-1) = K를 지정한 것이죠.
K 값의 변화에 따라 그대로 디버깅 해보시면 됩니다.
K는 초기에 1을 갖고 바로 1을 증가해 2부터 시작됩니다.
K가 2이면 A(2-1) = 2, 즉 A(1) = 2
K가 3이면 A(3-1) = 3, 즉 A(2) = 3
K가 4이면 A(4-1) = 4, 즉 A(3) = 4
.
.
.
K가 100이면 A(100-1) = 100, 즉 A(99) = 100
이렇게 하면 A 배열에 2부터 100까지 저장되게 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2-11-05 09:26:35
안녕하세요.
저장될 값은 2부터 100까지이고, 저장될 위치는 1부터 99까지 입니다.
그래서 A(K-1) = K를 지정한 것이죠.
K 값의 변화에 따라 그대로 디버깅 해보시면 됩니다.
K는 초기에 1을 갖고 바로 1을 증가해 2부터 시작됩니다.
K가 2이면 A(2-1) = 2, 즉 A(1) = 2
K가 3이면 A(3-1) = 3, 즉 A(2) = 3
K가 4이면 A(4-1) = 4, 즉 A(3) = 4
.
.
.
K가 100이면 A(100-1) = 100, 즉 A(99) = 100
이렇게 하면 A 배열에 2부터 100까지 저장되게 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