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의고사 6회의 문제 정답 2 번이 답은 k=1로 나와있는데 같은 값을 만들어 내는 k=k-7 로 적도 되는지 안되는지 와 그 이유가 궁금 합니다
그리고 비슷 한 유형으로 176쪽의 모의고사 2회 정답 2번의 답이 3으로 답지에 나와있는데 이때 계산식으로 INT(L/2)+1로 가운데 값을 찾아 내면 안되는지 에 대해서도 궁금하고 마지막으로 174쪽의 모의고사 1회에 정답 4번이 J+1 로 계산식으로 나와있는데 같은 결과를 만들어 내는 6 으로 답을 적으면 안되는지와 그이유 그리고 그 옆의 J=0은 왜 되는지에 대해 궁금합니다 친절하고 쉬운 설명과 답변 기대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동일한 결과를 산출하는 항목이 여러 개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 모두 정답으로 처리하거나 정답의 범위를 좁히기 위해 변수로 답을 하라거나 상수로 답을 하라는 조건이 제시될 수 있습니다.
만일 모의고사 6회 문제 2번에서
K = ( )로 주어진 상태에서 변수로 답을 하라는 조건이 있으면 k-7로 해야 하고
상수로 답을 하라는 조건이 있으면 1로 하면 됩니다.
또한 함수를 사용하는 경우 사용할 함수가 처리조건에 제시됩니다. 제시되지 않은 경우에는 함수를 사용하지 말고 식으로 작성하면 됩니다.
결론적으로, 문제에 제시된 답안 작성 조건이 있으면 조건에 맞게 답을 작성하면 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7-05-15 10:43:57
안녕하세요.
동일한 결과를 산출하는 항목이 여러 개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 모두 정답으로 처리하거나 정답의 범위를 좁히기 위해 변수로 답을 하라거나 상수로 답을 하라는 조건이 제시될 수 있습니다.
만일 모의고사 6회 문제 2번에서
K = ( )로 주어진 상태에서 변수로 답을 하라는 조건이 있으면 k-7로 해야 하고
상수로 답을 하라는 조건이 있으면 1로 하면 됩니다.
또한 함수를 사용하는 경우 사용할 함수가 처리조건에 제시됩니다. 제시되지 않은 경우에는 함수를 사용하지 말고 식으로 작성하면 됩니다.
결론적으로, 문제에 제시된 답안 작성 조건이 있으면 조건에 맞게 답을 작성하면 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