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내용 질문하기
97P 모의고사 1회 질문있습니다.
도서
2017 시나공 정보처리기능사 실기
페이지
97
조회수
68
작성일
2017-04-25
작성자
첨부파일

1회를 풀던도중, 답안을 저는 이런식으로 생각을 해서 작성을했습니다.

1. INT(N/J)

2. N/J

3. SUM+J

4. SUM

5. LM+1

3, 4, 5번 답은 정답과 같은데, 문제는 1번 2번 답안입니다.

제가 1, 2번을 INT 함수를 사용한 이유는,

INT(N/J) 값이, N/J 값과 다르다면 그말은, 나머지가 발생했다는 뜻이고,

EX) N=4 J=3, INT(N/J)=1, N/J=4/3

두 값이 같다면, J가 N의 약수라고 볼 수 있다고 생각을 해서입니다.

그런데, 97P를 보면, MOD(A,B) 에 대한 함수 설명이 나와있는데, 만약 정보처리기능사 시험을 보는 상황이라면

제가 MOD 함수를 사용하지 않았다면, 오답이 되는 상황인가요?

아니면 결과값은 맞으므로 정답으로 인정받을수있는 건가요?

궁금합니다.

답변
2017-04-26 09:30:03

안녕하세요.

괄호 ①과 ②와 같이 동일한 변수를 계산식에 사용한 후 바로 조건판단에 사용하는 경우는

앞서 작업의 결과 값을 변수에 저장한 후 그 변수의 값을 비교하는 과정으로 진행되어야 논리적 흐름에 맞는 순서도가 됩니다.

그러므로 R = (① )에는 R에 수식을 이용한 계산 결과가 저장되도록 해야 하는데,

약수를 구하는 방법은 약수를 구할 값 X를 1부터 X까지 나누어 나머지가 0이 되게 하는 제수들을 구하는 것이므로

나머지를 구해 R에 저장해야 합니다.

그래서 MOD(N, J)를 지정해야 합니다.

그런다음 R이, 즉 나머지가 0인지를 물어야 하므로

R = (② )에서 ②에는 0이 들어가야 합니다.

결과가 동일하더라도 순서도의 구성 형태를 판단하는 것도 시험의 한 부분이므로 논리적인 흐름상 맞게 작성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그래서 시험에서는 "미완성 알고리즘을 분석하여 가장 적합한 로직으로 연계되어 구현될 수 있도록 답안 작성 시 유의하시오"라는 조건이 제시되고 있습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
    2017-04-26 09:30:03

    안녕하세요.

    괄호 ①과 ②와 같이 동일한 변수를 계산식에 사용한 후 바로 조건판단에 사용하는 경우는

    앞서 작업의 결과 값을 변수에 저장한 후 그 변수의 값을 비교하는 과정으로 진행되어야 논리적 흐름에 맞는 순서도가 됩니다.

    그러므로 R = (① )에는 R에 수식을 이용한 계산 결과가 저장되도록 해야 하는데,

    약수를 구하는 방법은 약수를 구할 값 X를 1부터 X까지 나누어 나머지가 0이 되게 하는 제수들을 구하는 것이므로

    나머지를 구해 R에 저장해야 합니다.

    그래서 MOD(N, J)를 지정해야 합니다.

    그런다음 R이, 즉 나머지가 0인지를 물어야 하므로

    R = (② )에서 ②에는 0이 들어가야 합니다.

    결과가 동일하더라도 순서도의 구성 형태를 판단하는 것도 시험의 한 부분이므로 논리적인 흐름상 맞게 작성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그래서 시험에서는 "미완성 알고리즘을 분석하여 가장 적합한 로직으로 연계되어 구현될 수 있도록 답안 작성 시 유의하시오"라는 조건이 제시되고 있습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5MB 이하의 zip, 문서, 이미지 파일만 가능합니다.
· 폭언, 욕설, 비방 등은 관리자에 의해 경고없이 삭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