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내용 질문하기
정보처리기능사 알고리즘 문제 풀 때
도서
2017 시나공 정보처리기능사 실기
페이지
조회수
224
작성일
2016-11-26
작성자
첨부파일

안녕하세요~ 지금 정보처리기능사 알고리즘 실기 주관식으로 바뀌니까 상수와 변수로 하라는 말이 있더군요~ 그래서 문의를 드립니다~ 상수는 뭐고 변수는 뭔지 상세히 알려주세요~ 그리고 상수를 쓰는 경우와 변수를 써야 하는 경우도상세히 알려주세요~ 그리고 여기 알고리즘 경우의 수 즉 부등호가 바뀌면 알고리즘 어떻게 되고 그런 것에 대한 대처방법 같은 것도 알기 쉽게 알려주시면 고맙겠습니다~ 예를 들자면 부등호가 이런 경우에는 이렇게 대처하고 저런 경우에는 어떻게 대처하고 그런 방법을 알려주세요~

답변
2016-11-28 09:22:28

안녕하세요.

상수란 변하지 않고 고정된 값을 의미합니다. 순서도 안에서 항상 고정된 값을 갖는데, 일반적으로 숫자 값이 됩니다.

변수란 순서도 안에서 계속해서 변하는 값을 의미합니다.

초기 작업 시 변수를 선언한 후 해당 변수에 값이 순서도 진행 과정에서 변경되게 됩니다.

부등호가 바뀌는 경우란 >의 반대가 <= 이고 <의 반대가 >=라는 기준을 가지고 생각하면 됩니다.

또한 고정된 형태가 아니라 부등호의 변화에 따른 처리 과정의 변화는 디버깅을 통해 확인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니 이점 또한 학습에 참고하세요.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
    2016-11-28 09:22:28

    안녕하세요.

    상수란 변하지 않고 고정된 값을 의미합니다. 순서도 안에서 항상 고정된 값을 갖는데, 일반적으로 숫자 값이 됩니다.

    변수란 순서도 안에서 계속해서 변하는 값을 의미합니다.

    초기 작업 시 변수를 선언한 후 해당 변수에 값이 순서도 진행 과정에서 변경되게 됩니다.

    부등호가 바뀌는 경우란 >의 반대가 <= 이고 <의 반대가 >=라는 기준을 가지고 생각하면 됩니다.

    또한 고정된 형태가 아니라 부등호의 변화에 따른 처리 과정의 변화는 디버깅을 통해 확인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니 이점 또한 학습에 참고하세요.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5MB 이하의 zip, 문서, 이미지 파일만 가능합니다.
· 폭언, 욕설, 비방 등은 관리자에 의해 경고없이 삭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