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복무하며 공부중인데 사이버지식정보방에서 강의가 안나와서
책만 펴고 공부하느라 이해하기가 힘드네요.
n를 소인수분해 해서 1로 만들고, c를 4에서 다시 1로 만드는 과정에서
반복문: y= 1, c-1, 1
s(y): "x"
이 부분에서 x가 어떤 기능을 하는지, s(c), s(y)가 어떻게 적용되는 건지 왜 s(10)을 초기 값으로 하는지 등을
몰라서 이해할 수가 없습니다. 혼자 10번 가까히 디버깅 반복하면서 나머지 부분들은 이해했는데, 그 부분들은
설명이 아예 부재해서 알 수가 없었습니다.
그리고 메일 주소로 토막강의좀 보내주실수 없나요? 부대 컴퓨터로 웹페이지 재생이 안되니 강의를 들을 수가 없네요.
안녕하세요.
X는 곱하기 기호로 대신 사용한 것입니다.
예를 들어 132를 소인수 분해한다면
2 x 2 x 3 x 11 를 출력해야 합니다.
S(Y)가 2, 2, 3에 해당하고 "x"이 곱하기 기호에 해당합니다.
즉 2, 2, 3은 곱하기 기호와 함께 출력하기 위해
S(Y) ; "x" ;
와 같이 출력을 하는 것이고
마지막 11은 값만 출력하기 위해 반복문 이후에 S(C)로 출력을 하는 것입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6-09-26 10:58:28
안녕하세요.
X는 곱하기 기호로 대신 사용한 것입니다.
예를 들어 132를 소인수 분해한다면
2 x 2 x 3 x 11 를 출력해야 합니다.
S(Y)가 2, 2, 3에 해당하고 "x"이 곱하기 기호에 해당합니다.
즉 2, 2, 3은 곱하기 기호와 함께 출력하기 위해
S(Y) ; "x" ;
와 같이 출력을 하는 것이고
마지막 11은 값만 출력하기 위해 반복문 이후에 S(C)로 출력을 하는 것입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