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제시된 문제를 해결하는 순서도는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습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알고리즘의 이해에서 설명된 내용으로 순서도를 구성하는 것이죠.
10월 이후 시행되는 시험은 답안을 직접 기재하는 것으로 여러가지 답이 있을 수 있지만 그러한 답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문제의 조건들이 충분히 제시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러므로 제시된 문제의 내용이나 처리조건에 맞게 순서도를 구성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66쪽 알고리즘의 이해에서 나머지가 0이 될 때까지 반복한다고 하였으므로
나머지가 0인지를 파악하기 위해 나머지가 저장되는 변수인 NMG가 0인지를 비교하는 NMG=0 이 사용된 것이며,
NMG가 0일 때 작은 값(SMALL)이 최대공약수가 됩니다.
그리고 원래의 두 수를 곱한 후 최대공약수로 나누어 최소공배수를 구한다고 하였으므로
최소공배수(LCM) = A×B/GCM이 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6-09-23 09:09:06
안녕하세요.
제시된 문제를 해결하는 순서도는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습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알고리즘의 이해에서 설명된 내용으로 순서도를 구성하는 것이죠.
10월 이후 시행되는 시험은 답안을 직접 기재하는 것으로 여러가지 답이 있을 수 있지만 그러한 답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문제의 조건들이 충분히 제시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러므로 제시된 문제의 내용이나 처리조건에 맞게 순서도를 구성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66쪽 알고리즘의 이해에서 나머지가 0이 될 때까지 반복한다고 하였으므로
나머지가 0인지를 파악하기 위해 나머지가 저장되는 변수인 NMG가 0인지를 비교하는 NMG=0 이 사용된 것이며,
NMG가 0일 때 작은 값(SMALL)이 최대공약수가 됩니다.
그리고 원래의 두 수를 곱한 후 최대공약수로 나누어 최소공배수를 구한다고 하였으므로
최소공배수(LCM) = A×B/GCM이 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