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내용 질문하기
정보처리기능사 실기 섹션9 질문이요
도서
2016 시나공 정보처리기능사 실기
페이지
65
조회수
129
작성일
2016-03-26
작성자
첨부파일

소수의 개수를 구하는 알고리즘인데 여기서 10번이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분명 위의 4번에서 A(k-1)=k 로 2의 값이 들어간 후 인데 어찌하여

10번에서는 A(i)=0 이란 답이 나오는지 궁금합니다.

둘다 A(1) 로 2의 값이 들어가 있는거 아닌가요

답변
2016-03-28 09:29:57

안녕하세요.

A(i)=0을 판단하는 것은 순서도라는 것이 한번에 끝나는 것이 아니라 일련의 과정을 반복하기 때문입니다.

순서도의 처리가 반복되면 소수의 배수 자리에는 0이 들어가게 됩니다.

즉 0이 들어있는 위치는 소수가 아니므로 처리 대상에서 제외하면 되는 것이죠.

처음에는 아직 처리가 안된 상태라 A(i)=0이 의미가 없어보여도 몇 개의 소수가 구해진 후부터는 A(i)=0이 의미가 있게 됩니다.

알고리즘이란 일련의 처리 과정을 지정된 횟수만큼 반복하여 처리한다는 것을 염두에 두고 학습하세요.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
    2016-03-28 09:29:57

    안녕하세요.

    A(i)=0을 판단하는 것은 순서도라는 것이 한번에 끝나는 것이 아니라 일련의 과정을 반복하기 때문입니다.

    순서도의 처리가 반복되면 소수의 배수 자리에는 0이 들어가게 됩니다.

    즉 0이 들어있는 위치는 소수가 아니므로 처리 대상에서 제외하면 되는 것이죠.

    처음에는 아직 처리가 안된 상태라 A(i)=0이 의미가 없어보여도 몇 개의 소수가 구해진 후부터는 A(i)=0이 의미가 있게 됩니다.

    알고리즘이란 일련의 처리 과정을 지정된 횟수만큼 반복하여 처리한다는 것을 염두에 두고 학습하세요.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5MB 이하의 zip, 문서, 이미지 파일만 가능합니다.
· 폭언, 욕설, 비방 등은 관리자에 의해 경고없이 삭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