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내용 질문하기
정보처리기능사 실기 실무응용
도서
2016 시나공 정보처리기능사 실기
페이지
96
조회수
225
작성일
2016-02-03
작성자
첨부파일

2016년 시나공 특별판 실기 공부하고있습니다.

제가 지금 기출문제집 실무응용을 풀다가 이해가 안가서요.

페이지 35p 5번문항 TM(k)= PM(k)+TM(k) 일때 최초의 TM(k)값은 0인가요?

최초의값이 0이 맞다면 96p의 답이 잘못된건가요? 양동수의 TM 이동훈의 TM .....

이거때매 헷갈려서 진도가 안나가지네요 ㅠㅠ

또 TM(k)를 구할때 PM(k)가 누적되는데 PM(k)를 계속더하면 되는데 굳이 PM(k)+TM(k)를 하는 이유가 뭔가요?

36p PM,TM 칸이 9칸이네요... 10칸이여야하는거아닌가요???

답변
2016-02-04 09:24:43

안녕하세요.

A = A + B는 A와 B를 더해 그 값을 다시 A에 넣는 것으로 A에 B를 누적한다고 표현합니다.

이 경우 누적되는 A 변수는 0으로 초기화가 됩니다.

B가 1, 3, 5, 7과 같이 변한다면

A = A + B는

처음에

0 = 0 + 1에 의해 0과 1을 더해 그 값을 다시 A에 저장하므로 최종적으로 A에 1이 기억됩니다. 이는 프로그램의 변수 값 저장 원리입니다.

그 다음에는

1 = 1 + 3에 의해 1과 3을 더해 그 값을 다시 A에 저장하므로 최종적으로 A에 4가 기억됩니다.

이와 같이 진행되는데

TM(K) = TM(K) + PM(K)도 같은 원리로 TM(K)에 PM(K)가 누적됩니다.

TM(K) = PM(K) + TM(K)로 변수의 위치를 변경해도 결과는 같지만 일반적으로 누적 표현은

TM(K) = TM(K) + PM(K)로 표현한다는 것도 알아두세요.

학습에 불편을 드려 죄송합니다.

36p 배열의 칸 수는 10개가 되어야 합니다.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
    2016-02-04 09:24:43

    안녕하세요.

    A = A + B는 A와 B를 더해 그 값을 다시 A에 넣는 것으로 A에 B를 누적한다고 표현합니다.

    이 경우 누적되는 A 변수는 0으로 초기화가 됩니다.

    B가 1, 3, 5, 7과 같이 변한다면

    A = A + B는

    처음에

    0 = 0 + 1에 의해 0과 1을 더해 그 값을 다시 A에 저장하므로 최종적으로 A에 1이 기억됩니다. 이는 프로그램의 변수 값 저장 원리입니다.

    그 다음에는

    1 = 1 + 3에 의해 1과 3을 더해 그 값을 다시 A에 저장하므로 최종적으로 A에 4가 기억됩니다.

    이와 같이 진행되는데

    TM(K) = TM(K) + PM(K)도 같은 원리로 TM(K)에 PM(K)가 누적됩니다.

    TM(K) = PM(K) + TM(K)로 변수의 위치를 변경해도 결과는 같지만 일반적으로 누적 표현은

    TM(K) = TM(K) + PM(K)로 표현한다는 것도 알아두세요.

    학습에 불편을 드려 죄송합니다.

    36p 배열의 칸 수는 10개가 되어야 합니다.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5MB 이하의 zip, 문서, 이미지 파일만 가능합니다.
· 폭언, 욕설, 비방 등은 관리자에 의해 경고없이 삭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