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수행할때 어떻게 i=1.n-1, 그리고 j=i+1.n.1 이 되는지 알기쉽게 그림으로 설명부탁드려요 그냥 보면 이해가 좀 어려운데요
안녕하세요.
112쪽의 알고리즘의 이해처럼
선택정렬은 자료가 10개가 있다면...
첫 번째 자료를 두 번째 자료부터 마지막 자료까지 비교 후 가장 작은 값을 첫 번째 위치에 저장해 놓고
두 번째 자료를 세 번째 자료부터 마지막 자료까지 비교 후 가장 작은 값은 두 번째 위치에 저장해 놓고
세 번째 자료를 네 번째 자료부터 마지막 자료까지 비교 후 가장 작은 값을 세 번째 위치에 저장해 놓는 것처럼
진행하다
아홉 번째 자료를 열 번째 자료와 비교한 후 가장 작은 값을 아홉 번째 위치에 저장해 놓습니다.
그러면 가장 큰 값은 자연스레 열 번째 위치에 저장되게 됩니다.
이와 같은 비교의 기준이 되는 값이 1~9(전체 개수 -1)까지 변화할 때 비교 대상 값들은 2~10(전체개수)까지 변화합니다.
전체 개수를 N이라 하고
비교 기준이 되는 값을 i로 하여 반복한다면
i = 1부터 N-1까지 1씩 증가합니다.
i = 1, N-1, 1
그리고 비교 대상 값들을 J로 하여 반복한다면
J = 비교 기준 다음 값 부터, N까지, 1씩 증가합니다.
J = i+1, N, 1
선택정렬의 원리를 먼저 이해한 다음 순서도를 연관지어 보면 이해가 쉬울 수 있습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5-06-15 09:28:53
안녕하세요.
112쪽의 알고리즘의 이해처럼
선택정렬은 자료가 10개가 있다면...
첫 번째 자료를 두 번째 자료부터 마지막 자료까지 비교 후 가장 작은 값을 첫 번째 위치에 저장해 놓고
두 번째 자료를 세 번째 자료부터 마지막 자료까지 비교 후 가장 작은 값은 두 번째 위치에 저장해 놓고
세 번째 자료를 네 번째 자료부터 마지막 자료까지 비교 후 가장 작은 값을 세 번째 위치에 저장해 놓는 것처럼
진행하다
아홉 번째 자료를 열 번째 자료와 비교한 후 가장 작은 값을 아홉 번째 위치에 저장해 놓습니다.
그러면 가장 큰 값은 자연스레 열 번째 위치에 저장되게 됩니다.
이와 같은 비교의 기준이 되는 값이 1~9(전체 개수 -1)까지 변화할 때 비교 대상 값들은 2~10(전체개수)까지 변화합니다.
전체 개수를 N이라 하고
비교 기준이 되는 값을 i로 하여 반복한다면
i = 1부터 N-1까지 1씩 증가합니다.
i = 1, N-1, 1
그리고 비교 대상 값들을 J로 하여 반복한다면
J = 비교 기준 다음 값 부터, N까지, 1씩 증가합니다.
J = i+1, N, 1
선택정렬의 원리를 먼저 이해한 다음 순서도를 연관지어 보면 이해가 쉬울 수 있습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