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내용 질문하기
섹션009 이해가 안되네요...
도서
[2015] 정보처리기능사 실기
페이지
64
조회수
122
작성일
2015-03-12
작성자
첨부파일

왜 k=a(k-1) 인지 그리고 a(i)=0은 뭔소리인가요??그냥 64페이지 섹션 009 플로차트가 이해가 안되네요.....

답변
2015-03-13 09:29:11

안녕하세요.

64쪽의 알고리즘의 이해를 먼저 확실히 이해해야 합니다.

2~100까지의 수를 배열에 저장할 때 A(1)에는 2가, A(2)에는 3이, A(3)에는 4가 .... 순차적으로 저장되어야 합니다.

배열의 위치는 1, 2, 3, 4, 5, .. 와 같이 변하고

저장되는 값은 2, 3, 4, 5, 6, ... 과 같이 변합니다. 즉 배열의 위치에 +1한 값이 배열에 저장되는 값이죠.

그래서 A(K-1)에 K를 저장합니다.

K는 초기값을 1을 갖지만 실제 처리를 시작할 때는 K=K+1에 의해 K가 2가 됩니다.

K가 2일 때

A(K-1) = K, A(1)=2

K가 3일 때

A(K-1) = K, A(2)=3

K가 4일 때

A(K-1) = K, A(3)=4

와 같이 ... 문제에서 원하는 것처럼 배열의 위치 값이 저장됩니다.

또한 소수를 검사할 때 소수의 배수는 소수가 아니므로 미리 표시를 하기로 했죠. 즉 소수의 배수 자리에는 0을 기억시키기로 했습니다. 그래서 배열을 확인할 때 현재 배열의 값이 0이면 소수 판단을 할 필요가 없는것이죠.

그래서 A(i)=0 으로 현재 A 배열의 값이 0인지를 비교하는 것이죠.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 *
    2015-03-13 09:29:11

    안녕하세요.

    64쪽의 알고리즘의 이해를 먼저 확실히 이해해야 합니다.

    2~100까지의 수를 배열에 저장할 때 A(1)에는 2가, A(2)에는 3이, A(3)에는 4가 .... 순차적으로 저장되어야 합니다.

    배열의 위치는 1, 2, 3, 4, 5, .. 와 같이 변하고

    저장되는 값은 2, 3, 4, 5, 6, ... 과 같이 변합니다. 즉 배열의 위치에 +1한 값이 배열에 저장되는 값이죠.

    그래서 A(K-1)에 K를 저장합니다.

    K는 초기값을 1을 갖지만 실제 처리를 시작할 때는 K=K+1에 의해 K가 2가 됩니다.

    K가 2일 때

    A(K-1) = K, A(1)=2

    K가 3일 때

    A(K-1) = K, A(2)=3

    K가 4일 때

    A(K-1) = K, A(3)=4

    와 같이 ... 문제에서 원하는 것처럼 배열의 위치 값이 저장됩니다.

    또한 소수를 검사할 때 소수의 배수는 소수가 아니므로 미리 표시를 하기로 했죠. 즉 소수의 배수 자리에는 0을 기억시키기로 했습니다. 그래서 배열을 확인할 때 현재 배열의 값이 0이면 소수 판단을 할 필요가 없는것이죠.

    그래서 A(i)=0 으로 현재 A 배열의 값이 0인지를 비교하는 것이죠.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 5MB 이하의 zip, 문서, 이미지 파일만 가능합니다.
· 폭언, 욕설, 비방 등은 관리자에 의해 경고없이 삭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