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에 보면 마지막에 J=J+1 다음에 J<=10 이 되는데 왜 저게 되는거에요?
J<10은 안되나요??
안녕하세요.
J<10 이라고 비교할 때 작업 과정입니다.
J가 1일 때 작업을 수행한 후 T 배열의 J 번째, 즉 T(1)에 값을 저장합니다. 그리고 J=J+1에 의해 J를 증가시켜 2가 됩니다.
J<10, 즉 J는 현재 2이고 10보다 작업으로 계속 작업합니다.
J가 2일 때 작업을 수행한 후 T 배열의 J 번째, 즉 T(2)에 값을 저장합니다. 그리고 J=J+1에 의해 J를 증가시켜 3이 됩니다.
이와 같이 작업하다
J가 9일 때 작업을 수행한 후 T 배열의 J 번째, 즉 T(9)에 값을 저장합니다. 그리고 J=J+1에 의해 J를 증가시켜 10이 됩니다.
J<10, 즉 J는 현재 10이고 10보다 작지 않으므로 작업이 중단됩니다.
그러므로 J<10이 아니라 J<=10라고 비교하여 J가 10일 때까지 작업을 수행하도록 해야 합니다.
위와 같이 종료 기준값은 변수의 초기값과 처리 과정을 디버깅을 통해 확인해 보면서 판단할 수 있습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5-01-28 09:17:43
안녕하세요.
J<10 이라고 비교할 때 작업 과정입니다.
J가 1일 때 작업을 수행한 후 T 배열의 J 번째, 즉 T(1)에 값을 저장합니다. 그리고 J=J+1에 의해 J를 증가시켜 2가 됩니다.
J<10, 즉 J는 현재 2이고 10보다 작업으로 계속 작업합니다.
J가 2일 때 작업을 수행한 후 T 배열의 J 번째, 즉 T(2)에 값을 저장합니다. 그리고 J=J+1에 의해 J를 증가시켜 3이 됩니다.
이와 같이 작업하다
J가 9일 때 작업을 수행한 후 T 배열의 J 번째, 즉 T(9)에 값을 저장합니다. 그리고 J=J+1에 의해 J를 증가시켜 10이 됩니다.
J<10, 즉 J는 현재 10이고 10보다 작지 않으므로 작업이 중단됩니다.
그러므로 J<10이 아니라 J<=10라고 비교하여 J가 10일 때까지 작업을 수행하도록 해야 합니다.
위와 같이 종료 기준값은 변수의 초기값과 처리 과정을 디버깅을 통해 확인해 보면서 판단할 수 있습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