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내용 질문하기
14강에 나오는 알고리즘 대로 32를 2진수로 변환해볼려고 합니다.
도서
[2014] 정보처리기능사 실기
페이지
75
조회수
102
작성일
2014-06-30
작성자
첨부파일

32에 가장 가까운 누승을 계산하면

1X2X2X2X2X2X2/2 로 32가 되지 않습니까?

여기서 32를 32로 나누면 몫이 1이고 나머지가 0인데..

이후에 계산을 어떻게 진행하나요?

아직 0이 좀더 나와야되는데... 이해가 잘 안되네요

답변
2014-07-01 09:21:00

안녕하세요.

4~5번 과정에서 D는 64가 되어서 6번으로 갑니다. D가 C보다 작거나 같을 때까지 5번을 반복하기 때문에 D가 32일 때도 5번을 한번 더 수행하여 64가 된 상태로 6번으로 갑니다.

6번에서 Yes가 되어 7번을 만다 D는 비로소 32가 됩니다.

이제 8~9번 과정에서 E(몫)은 1, F(나머지)는 0이 됩니다.

10번에서 A(E+1) 즉 A(1+1) -> A(2) -> A 배열의 2번째 값인 1을 출력합니다.

D가 현재 32이므로 11번에서 Yes가 되어 C에 F를 저장합니다. 그래서 C는 0이 되죠.

이후 6번에서 Yes가 되고 7번에서 D는 16이 됩니다.

8~9번에서 E는 0, F는 0이 됩니다.

10번에서 A(0+1) -> A(1) -> A배열의 1번째 값인 0을 출력합니다.

이렇데 이후 0을 4번더 출력하여 최종적으로 100000가 출력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 *
    2014-07-01 09:21:00

    안녕하세요.

    4~5번 과정에서 D는 64가 되어서 6번으로 갑니다. D가 C보다 작거나 같을 때까지 5번을 반복하기 때문에 D가 32일 때도 5번을 한번 더 수행하여 64가 된 상태로 6번으로 갑니다.

    6번에서 Yes가 되어 7번을 만다 D는 비로소 32가 됩니다.

    이제 8~9번 과정에서 E(몫)은 1, F(나머지)는 0이 됩니다.

    10번에서 A(E+1) 즉 A(1+1) -> A(2) -> A 배열의 2번째 값인 1을 출력합니다.

    D가 현재 32이므로 11번에서 Yes가 되어 C에 F를 저장합니다. 그래서 C는 0이 되죠.

    이후 6번에서 Yes가 되고 7번에서 D는 16이 됩니다.

    8~9번에서 E는 0, F는 0이 됩니다.

    10번에서 A(0+1) -> A(1) -> A배열의 1번째 값인 0을 출력합니다.

    이렇데 이후 0을 4번더 출력하여 최종적으로 100000가 출력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 5MB 이하의 zip, 문서, 이미지 파일만 가능합니다.
· 폭언, 욕설, 비방 등은 관리자에 의해 경고없이 삭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