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처리기능사
1과목 전가계산기 일반
2장 논리회로
SECTION 9 순서논리회로
2. 플립플롭의 특징
·플립플롭 1개가 1Bit를 저장할 수 있다.
라고 나옵니다......
여기서 1Bit를 저장한다는게 어떤 의미인가요?
저장한 값이 그대로 유지가 된다는 것인지요?
신호를 보내 놓았던게 그대로 유지가 된다는 것인가요?
저장 이라는 의미가
이 전에 가지고 있던것을 어딘가에 저장해서 그게 그대로 유지되는걸 뜻하잖아요?
저장을 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저장을 1Bit를 저장할 수 있다는 것은
0과 1를 저장 할 수 있다는 것인가요?
그러면 2Bit를 저장 할 수 있다는 것은
00,01,10,11 을 저장 할 수 있다는 것인가요?
그럼 3비트를 저장 할 수 있다는 것은
000,001,010,011,100,101,110,111 이렇게 총 8가지의 경우를 저장 할 수 있다는 건가요?
그럼 4 비트는 16가지?
그럼 5비트는 32가지?
그럼 6비트는 64가지?
그럼 7비트는 128가지?
그럼 8비트는 256가지?
이렇게 저장이 가능 하다는 건가요?
일단 이 회로가 플립플롭 회로라고 되어있는데요
이게 어떻게 1비트를 저장 할 수 있는 건가요?
그리고 이게 또 어떻게 쓰이는지요?
1.순서논리회로의 특징을 보니까
조합회로와 이 플립플롭회로가 연결되어있습니다.
인풋이 조합회로로 들어가서 그 조합회로에서 어떤 회로를 거치는 지는 모르겠는데
아웃풋으로 하나는 나오고 또 하나는 메모리요소(플립플롭회로)로 들어가는데요
이게 구체적으로 조합회로에서 어떤 회로를 거쳐서 어떤것은 아웃풋으로 나가고
어떤 것은 메모리요소(플립플롭회로)로 나가는지요?
그리고 이런 저장하는 기능이 전자계산기에서 어떻게 쓰이는지요?
안녕하세요.
컴퓨터는 0과 1 이렇게 두 가지 상태만을 갖는 이진수를 사용합니다.
보통 전류의 흐름을 1, 전류의 중단을 0으로 파악하죠.
플립플롭은 이러한 0 또는 1의 상태를 유지하는 회로로 전류의 흐름이 유지되면 이는 1을 의미하는 것이죠.
그렇지 않으면 0을 의미하는 것이죠.
그래서 1비트를 저장할 수 있다 좀더 자세히 말하면 1비트의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고 말하는 것입니다.
플립플롭은 종류에 따라 상태를 유지(1 또는 0)하는 방식이 재각각 다르게 됩니다.
이러한 플립플롭의 기능에 맞게 필요한 형태를 사용해 점차 복잡한 회로를 구현하게 되는 것이죠.
이러한 플립플롭 회로를 이용한 전자계산기의 구체적인 회로 처리 과정은 회로 구현 방식에 따라 상당히 복잡합니다.
그래서 별도의 전자회로 학문 과정이 따로 있을 정도이지요. 컴퓨터에서는 가장 중요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기도 하구요.
기능사는 물로 기사나 산업기사에서도 그렇게 심도 깊은 회로 처리 과정이 시험에 출제되지는 않습니다.
플립플롭의 개념과 특징 종류별 특징 정도만 출제되죠.
전자계산기 조직응용 기사의 실무 시험 정도에서나 출제될법한 내용입니다.
혹 이와 관련된 내용을 더 학습하고자 하신다면 해당 과목의 전공 도서를 참고하셔서 학습하실 수 있습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4-01-20 09:41:28
안녕하세요.
컴퓨터는 0과 1 이렇게 두 가지 상태만을 갖는 이진수를 사용합니다.
보통 전류의 흐름을 1, 전류의 중단을 0으로 파악하죠.
플립플롭은 이러한 0 또는 1의 상태를 유지하는 회로로 전류의 흐름이 유지되면 이는 1을 의미하는 것이죠.
그렇지 않으면 0을 의미하는 것이죠.
그래서 1비트를 저장할 수 있다 좀더 자세히 말하면 1비트의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고 말하는 것입니다.
플립플롭은 종류에 따라 상태를 유지(1 또는 0)하는 방식이 재각각 다르게 됩니다.
이러한 플립플롭의 기능에 맞게 필요한 형태를 사용해 점차 복잡한 회로를 구현하게 되는 것이죠.
이러한 플립플롭 회로를 이용한 전자계산기의 구체적인 회로 처리 과정은 회로 구현 방식에 따라 상당히 복잡합니다.
그래서 별도의 전자회로 학문 과정이 따로 있을 정도이지요. 컴퓨터에서는 가장 중요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기도 하구요.
기능사는 물로 기사나 산업기사에서도 그렇게 심도 깊은 회로 처리 과정이 시험에 출제되지는 않습니다.
플립플롭의 개념과 특징 종류별 특징 정도만 출제되죠.
전자계산기 조직응용 기사의 실무 시험 정도에서나 출제될법한 내용입니다.
혹 이와 관련된 내용을 더 학습하고자 하신다면 해당 과목의 전공 도서를 참고하셔서 학습하실 수 있습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