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념을 살펴보면
DRAM 이 콘덴서를 사용
SRAM 은 플립플롭을 사용한다고 되어있는데요
4번문제는
플립플롭 회로로 전하를 축적하면서 리프레쉬를 일정하게 해주는 소자가 답이 DRAM 이라고 되어있네요
혹시 문제오타인가요 ?
아니면 DRAM에서는 플립플롭을 어떤식으로 사용하는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추가 하나만 더할게요 죄송합니다 !
103페이지에서
DRAM SRAM 을 설명할때에
제 생각엔 DRAM이 주기적인 리프레쉬 작업이 필요해서
전력소모가 더 클것 같은데 왜 SRAM 보다 적은지 설명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4번 문제를 잘 읽어보시면,
플립플롭 회로가 전하를 축적시키는 방법으로 기억하였다가 자연 방전으로 인하여 전하가 소멸되는 것
이 것이 SRAM의 특징입니다.
이러한 SRAM의 특징을 보완하기 위해 콘덴서를 사용하여 주기적인 재충전을 하여 데이터를 유지하는 것이 DRAM입니다.
구조적인 문제 때문입니다.
SRAM은 데이터를 계속 유지하기 위해 전력 소모가 많습니다.
하지만 DRAM은 일정 시간 간격으로 재충전만 해주면 되므로 전체적으로는 SRAM에 비해 전력 소모는 적습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3-03-20 09:30:28
안녕하세요.
4번 문제를 잘 읽어보시면,
플립플롭 회로가 전하를 축적시키는 방법으로 기억하였다가 자연 방전으로 인하여 전하가 소멸되는 것
이 것이 SRAM의 특징입니다.
이러한 SRAM의 특징을 보완하기 위해 콘덴서를 사용하여 주기적인 재충전을 하여 데이터를 유지하는 것이 DRAM입니다.
구조적인 문제 때문입니다.
SRAM은 데이터를 계속 유지하기 위해 전력 소모가 많습니다.
하지만 DRAM은 일정 시간 간격으로 재충전만 해주면 되므로 전체적으로는 SRAM에 비해 전력 소모는 적습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