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대수에서
A*(A*B+C) = (A*A*B)+(A*C) 라던데 (A*A)*(A*B)+(A*C) 로 안써져있어서 질문하는데요.
분배법칙을할때 같은 연산자이면 한번만 AND를 써주나요?
그러면, 예를들어 A+(A*B+C)는
= (A+A*B)+(A+C) 인가요, = (A+A)*(A+B)+(A+C) 인가요?
cf. (A+A*A*B)같은 꼴은 무조건 앞에서부터 순서대로 연산하는거죠? (일반대수식에선 *먼저인데)
그리고 전가산기에서(page 48)
전 단계의 자리올림수 Ci 를 같이 더해준다는데 여기서 전단계가 무슨말인지 모르겠어요(뒷자리에서 올라온 자리올림수를 포함하여 더한다는데 뒷자리에서 올라온다는말이 뭔지...)
그리고 전가산기가 왜 전단계(Ci)를 포함해서 더해주나요?
그냥 A,B와 다른 입력 C로 보는것하고 무슨차이가 있나요? 너무 헷갈리네요.
안녕하세요.
1)
(A*A)*(A*B)+(A*C)에서 (A*A)는 A입니다. 즉 A*(A*B)+(A*C)이므로 (A*A*B)+(A*C)로 표현한 것이죠.
그리고 A+(A*B+C)는 앞의 A가 +로 연결된 것으로 분배를 하지 않습니다.
그냥 A+(A*B+C)인 것이죠.
2)
Ci는 자리 올림수 즉
1 0
+ 1 0
--------
1 0 0 으로 맨 앞에 자리올림 1이 발생합니다.
이와 같이 발생한 올림수를 말하는 것으로 전가산기는 연속된 덧셈을 수행할 때 올림수까지 감안하여 덧셈이 가능한 회로입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3-02-22 09:24:49
안녕하세요.
1)
(A*A)*(A*B)+(A*C)에서 (A*A)는 A입니다. 즉 A*(A*B)+(A*C)이므로 (A*A*B)+(A*C)로 표현한 것이죠.
그리고 A+(A*B+C)는 앞의 A가 +로 연결된 것으로 분배를 하지 않습니다.
그냥 A+(A*B+C)인 것이죠.
2)
Ci는 자리 올림수 즉
1 0
+ 1 0
--------
1 0 0 으로 맨 앞에 자리올림 1이 발생합니다.
이와 같이 발생한 올림수를 말하는 것으로 전가산기는 연속된 덧셈을 수행할 때 올림수까지 감안하여 덧셈이 가능한 회로입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