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번 5번이 풀이 어떻게 저렇게 되는건지 모르겠습니다
무슨 공식인가요??
10번도 똑같이 4,5번에 쓰이던 풀이랑 비슷한거같은데
3번은 세번째 풀이과정까진 이해가 되는데요
1의 1보수에 1을 더할때 끝자리만 더해지는거 아닌가요??
안녕하세요.
1)
16진수 2C를 10진수로 변환하는 과정은 교재 63쪽 "③ 2진수, 8진수, 16진수를 10진수로 변환"에 자세히 설명되어 있습니다.
16진수 2C를 10진수로 변환하려면 정수 부분만 있으므로 각 진수의 자릿값과 자리의 지수승을 곱한 결과값을 모두 더합니다.
2 C 눈에는 보이지 않지만 가상의 소수점은 C의 오른쪽에 있습니다. 그래야 소수점을 표시할 때 오른쪽으로 표시하죠.
그래서 C 뒤의 가상의 소수점을 기준으로 왼쪽 방향으로 자릿값은 0, 1, 2, 3, 4, ... 가 되고 오른쪽 방향으로는 -1, -2, -3, -4 .. 가 됩니다.
이제 각 자릿값을 가중치로 하여 계산하면
2 C <- 16진수
1 0 <- 자릿값
2 × 16의 1승 + C × 16의 0승
각 자릿값을 진수의 지수승으로 곱해줍니다. 2는 자릿값이 1이고 16진수이므로 2 × 16의 1승이 됩니다.
이와 같이 적용하면
2 × 16 + C × 1 이 됩니다. 16의 1승은 16이고 16의 0승, 즉 모든 수의 0승은 1입니다. 또한 C는 10진수로 12이므로
결과는 32 + 12 = 44가 됩니다.
같은 원리고 5번과 10번은 각 진수에 각 자리값을 적용하여 10진수 변환해 보세요.
2)
예, 끝자리를 더하는데 더한 값이 2가 되면 올림수가 발생합니다.
2진수는 1과 0으로만 되어 있어 1+1은 2가 아니라 결과는 0이고 올림수 1이 발생합니다.
10진수에서 9 다음의 10이라는 의미가 일의 자리는 0이고 십의 자리로 올림수 1이 발생했다는 것을 10으로 표현한 것과 같은 원리죠
그래서
1 1 1 0 1 1 1
+ 1
--------------
을 하면, 끝자리의 1+1에 의해 결과는 0이고 올림수 1이 발생합니다. 발생한 올림수는 그 앞자리와 더해지는데,
역시 1+1이므로 결과는 0이고 또 올림수 1이 발생합니다. 이와 같이 올림수가 발생하다
다섯 번째 덧셈에서 0+1이 되어 결과가 아래와 같이 됩니다.
1 1 1 1 0 1 1 1
+ 1
---------------
1 0 0 0
이후에는 더해지는 값이 0이므로 1이 그대로 내려와
1 1 1 1 0 1 1 1
+ 1
---------------
1 1 1 1 1 0 0 0
이 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7-05-26 11:19:48
안녕하세요.
1)
16진수 2C를 10진수로 변환하는 과정은 교재 63쪽 "③ 2진수, 8진수, 16진수를 10진수로 변환"에 자세히 설명되어 있습니다.
16진수 2C를 10진수로 변환하려면 정수 부분만 있으므로 각 진수의 자릿값과 자리의 지수승을 곱한 결과값을 모두 더합니다.
2 C 눈에는 보이지 않지만 가상의 소수점은 C의 오른쪽에 있습니다. 그래야 소수점을 표시할 때 오른쪽으로 표시하죠.
그래서 C 뒤의 가상의 소수점을 기준으로 왼쪽 방향으로 자릿값은 0, 1, 2, 3, 4, ... 가 되고 오른쪽 방향으로는 -1, -2, -3, -4 .. 가 됩니다.
이제 각 자릿값을 가중치로 하여 계산하면
2 C <- 16진수
1 0 <- 자릿값
2 × 16의 1승 + C × 16의 0승
각 자릿값을 진수의 지수승으로 곱해줍니다. 2는 자릿값이 1이고 16진수이므로 2 × 16의 1승이 됩니다.
이와 같이 적용하면
2 × 16 + C × 1 이 됩니다. 16의 1승은 16이고 16의 0승, 즉 모든 수의 0승은 1입니다. 또한 C는 10진수로 12이므로
결과는 32 + 12 = 44가 됩니다.
같은 원리고 5번과 10번은 각 진수에 각 자리값을 적용하여 10진수 변환해 보세요.
2)
예, 끝자리를 더하는데 더한 값이 2가 되면 올림수가 발생합니다.
2진수는 1과 0으로만 되어 있어 1+1은 2가 아니라 결과는 0이고 올림수 1이 발생합니다.
10진수에서 9 다음의 10이라는 의미가 일의 자리는 0이고 십의 자리로 올림수 1이 발생했다는 것을 10으로 표현한 것과 같은 원리죠
그래서
1 1 1 0 1 1 1
+ 1
--------------
을 하면, 끝자리의 1+1에 의해 결과는 0이고 올림수 1이 발생합니다. 발생한 올림수는 그 앞자리와 더해지는데,
역시 1+1이므로 결과는 0이고 또 올림수 1이 발생합니다. 이와 같이 올림수가 발생하다
다섯 번째 덧셈에서 0+1이 되어 결과가 아래와 같이 됩니다.
1 1 1 1 0 1 1 1
+ 1
---------------
1 0 0 0
이후에는 더해지는 값이 0이므로 1이 그대로 내려와
1 1 1 1 0 1 1 1
+ 1
---------------
1 1 1 1 1 0 0 0
이 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